[불요불굴의 영업인]
영업을 통해 목표에 입각하여 매출을 달성하였고, 다양한 고객을 만나며 사람과의 관계 형성에 노하우를 가지고 있으며, 사회봉사활동을 통해 타인에 대한 배려와 협력에 탁월합니다.
첫째. 기획력과 분석력을 통해 고객의 마음을 읽는 영업인이 되겠습니다. 상권의 특성과 고객의 구매습관에 따른 패턴을 정확히 조사하여 100만 원의 아르바이트생이 4,000만 원의 매출을 달성한 경험을 통해 정확히 분석하고 실행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영업인이 되겠습니다.
둘째. 고객의 목소리를 두려워하지 않겠습니다. 과거 영업사원일 때 불만족 고객과의 소통을 끊임없이 하였습니다. 이는 차별화된 고객서비스 제공을 위해 듣지 못하는 소리를 듣고 개선해 단골손님을 만든 경험을 통해 담당지역의 믿음과 신뢰를 받는 대교의 인턴이 되겠습니다.
[기준의 중요성]
대학생 봉사활동 시절 사회문제점을 찾고 해결하는 과정 중 ‘직립 휠체어’ 제작에 대한 의견 차이가 발생하였고, 구성원들은 시간과 비용 그리고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이견을 좁히지 못했습니다. 커뮤니케이션 담당인 본인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2가지를 제시하여 팀원과 협력하여 성과를 창출할 수 있었습니다.
첫째. 기준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구성원들에게 단체의 목적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문제점을 찾고 해결하기 위한 단체이고 1년이라는 시간과 비용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문제 해결을 위해 당사자와 함께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공동으로 진행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또한, 비판보다는 경청을 통해 타인의 의견 역시 존중해야 함을 기준으로 제시했습니다.
둘째. 명확한 근거와 자료를 요구하였습니다. 대립하는 이견을 중재하기 위해서는 주관적인 입장 제시를 금지하였고, 제작하기까지의 모든 과정에 대한 분석과 조사를 바탕으로 객관성을 확보하여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하여 구성원의 모든 동의를 얻어 ‘직립 휠체어’ 제작할 수 있었습니다.
‘직립 휠체어’의 완성품이 초안을 제작하였지만, 결산 당시 프로젝트 발표를 통해 창의아이템으로 선정되어 언론을 통해 실현 가능성을 인정받았고, 완성품 제작을 위해 현재 많은 사회단체에서 노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