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도 높은 보고서가 작성되는 과정]
봉사단으로 해외봉사를 5개월 동안 다녀올 기회가 있었습니다. 이 때 봉사단원들을 대상으로 1,000만원 규모의 현장 지원 사업 공모전이 있었습니다. 전문적 지식이 없는 대학생 5명으로 구성된 팀이 큰 규모의 사업을 기획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좋은점 1
계획서 쓰기에 앞서 모두 막막해하고 있을 때, 저는 제안서를 써 본 경험을 토대로 기본 틀을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현장 지원 사업 관련 보고서를 수집하여 참고할 수 있게 모두에게 공유하였습니다. 당시 저의 역할은 팀장이 아니었지만, 계획서를 작성할 때만큼은 프로젝트 매니저 역할을 자처하여 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여러 활동들을 팀원들의 개인 특성을 고려하여 배분하였습니다. 좋은점 2그 결과 공모전 심사위원들이 대리 작성을 의심할 정도로 완성도 높은 보고서를 완성할 수 있었고, 공모전에 당선되어 현장 지원 사업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좋은점 3
이 경험을 통해 팀 활동에서 다양한 개인의 각자 다른 장점을 잘 활용하는 것이 높은 성과를 내는데 중요하다는 점을 배웠습니다. 그 과정에서 나무보다 숲을 볼 수 있는 넓은 시야와 팀원들의 역량 파악을 통한 적절한 업무 배분이 저의 강점이라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런 능력은 영업 관리자로서 팀원들을 이끌고 성과를 내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꼭 필요한 역량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점 4
좋은점 1 상황에 대한 배경 설명을 군더더기 없이 잘 설명하였습니다.
좋은점 2 지원자가 노력한 점을 구체적으로 작성한 점이 좋습니다.
좋은점 3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 인해 내용에 대해 신뢰를 가지게 한다는 점이 좋습니다.
좋은점 4 지원자가 제시한 경험에 대해서 적절하게 의미를 부여하고 있고 어떤 점이 배운 점인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점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