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점의 변화, 비로소 보이는 것들"
2016년, 대학생 캠페인활동 'OOOOO'에 참여하며 관점의 변화를 통해 성과를 달성한 경험이 있습니다. 아쉬운점 1당시 활동은 수저 계급론, 편 가르기 등 사회 이슈에 대해 메시지를 전하고, 사람들의 인식전환과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단순 피켓 노출, 홍보물 배포로는 행인들의 관심을 유도하기에 턱없이 부족했고, 자연스럽게 무관심과 홍보물 거부로 이어졌습니다.
이 때문에 차기 활동을 대비한 아이디어 기획 회의에서 변화를 주기로 했습니다. 먼저 팀원 간 의논을 통해 '행인들 관점'에 맞춰 문제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진부하고 맹목적인 메시지 전달이 문제였음에 의견이 모였고, 확실한 컨셉과 이벤트 요소를 가미해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기로 했습니다. 차기 활동 주제는 '사라져 가는 현대인의 도덕의식'이었고, 회의 내용을 반영해 작은 재미를 더해 많은 사람의 기억에 남을 방법을 구상했습니다. 그것은 바로 간단한 퀴즈와 함께 도덕 교과서를 선물하는 것이었습니다.
수정된 기획은 다음 활동에 반영되어 실행되었고, 결과는 기대 이상이었습니다. 연남동 거리에서 도덕책은 많은 사람의 이목을 끌었습니다. 어린아이와 외국인은 처음 보는 도덕 교과서에 호기심을, 성인들은 반가움을 나타냈습니다. 이러한 관심은 호의적인 반응과 활발한 참여로 이어졌고, 덕분에 준비한 도덕책 300부를 모두 배부하며 성공적인 캠페인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좋은점 1
아쉬운점 1 중심내용이긴 하지만 핵심내용이 아닙니다. 관점의 변화를 통해 어떤 성과를 거두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끝까지 읽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모든 내용을 포괄할 수 없다면 최소한 ‘관점의 변화’를 보여준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인사담당자가 아래 내용을 모두 읽고 싶어질 만큼 호기심이 생기도록 해야 합니다. ‘2016년 대학생 캠페인 활동 ‘청년 스피커’에 참여하여 ‘행인의 관점’이라는 시선의 변화를 통해 무관심을 ~~~으로 바꾸는 성과를 낸 경험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와 같이 핵심이 드러나도록 수정해야 합니다.
좋은점 1 군더더기 없이 작성되어 한 번에 읽히는 글입니다. 가독성이 좋으면, 인사담당자가 지원자의 경험이나 강점, 역량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