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예시로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 갈등 문제'를 들겠습니다. 2017년 9월 27일 서울시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 지하철의 2016년 노인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액은 약 3,623억에 달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수혜계층은 제도의 지속을 바라고 있지만, 관련 지자체와 비 수혜계층은 제도의 폐지나 개선을 바라고 있어 세대 간 갈등을 유발하고 있습니다. 좋은점 1
이 문제는 사회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고 생각합니다. 이와 같은 사회적 갈등의 해결에는 관계자들이 서로 충분히 소통하여 상대방을 이해하고 양보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저는 전문가와 각 계층의 시민들이 참여하는 여론조사와 토론회를 개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로 인해 관련 지자체들은 지하철 재정 적자의 심화를, 노인 계층은 교통비 지원이 필요한 취약 계층임을 상대방에게 이해시키며 서로의 조금씩 양쪽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하여 지원 금액 감소, 교통비 정액 지원 등 다양한 대안을 찾아낼 수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집단 내 갈등은 다양한 구성원의 입장을 고려하면서 점진적으로 해결해나가는 것이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아쉬운점 1
좋은점 1 질문에서 요구간 세대간의 갈등에 대한 주제이고, 이 주제에 대해 간략하게 배경설명을 제시한 점이 좋습니다.
아쉬운점 1 문제해결에 대해 지원자의 생각을 열심히 제시했는데, 문제는 특별하지 않은 내용이라는 것입니다. 누구나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방안이라 다 읽었을 때, 특별한 느낌이 들지 않았습니다. 이 항목은 주제에 대한 올바른 설명도 중요하지만 지원자만의 독특한 해결책이 있을 때, 더 호감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