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환경연구는 국내외 오피스 환경의 변화와 흐름을 연구하고 사용자 행태를 분석하며 업무 환경을 진단하여, 최적의 업무 환경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좋은점 1
"사용자 지향적인 업무 환경을 위한 고민"
건축 설계, 영업 등 다양한 직무 경험을 통해 업무 특성에 따라 다른 오피스 환경들을 많이 접해본 것이 경쟁력입니다. 설계 사무소에서는 모델 작업과 미팅을 위한 대형 테이블을 중심으로 각자의 자리가 등을 마주 보는 형태였습니다. 개인 작업을 할 때는 집중하고, 미팅을 수시로 하기 유리한 환경이었습니다. 소셜 커머스의 영업 팀에서는 낮은 파티션과 얼굴을 마주 보는 자리 배치로 인해 소음 발생의 여지가 커, 거래처와의 통화가 잦은 영업 직무에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직접 겪으면서 업무 환경에 관해 고민했고, 이 경험을 통해 최적의 사무 환경을 연구하는 데 보탬이 되겠습니다.아쉬운점 1
"소통으로 문제의 본질을 바라보다"
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유연함이 또 다른 경쟁력입니다. OOOO 부학생회장을 맡았을 때, 학우가 학생회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느꼈습니다. 그 원인을 조사했고, 학생회비 내역을 공개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인 것을 깨달았습니다. 즉시 내용을 공개하고 투명하게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이전의 학생회는 학우와 소통하지 않아, 학우의 불만을 알지 못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신뢰를 받는 학생회를 이루었고, 이후에 학생회가 학우와 더욱 소통하는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해결하려는 자세로, 동료뿐 아니라 고객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사무 환경의 개선을 연구하겠습니다.아쉬운점 2
좋은점 1 요구 사항에 맞게 쓴 점이 좋습니다.
아쉬운점 1 많은 오피스 환경을 접해봤다고 했는데, 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지 않아서 실망입니다. 어떤 특성의 오피스 환경을 접해보았는지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고, 그와 관련하여 어떤 경험이 있는지도 다양하게 제시해야 합니다.
아쉬운점 2 질문에서 분명히 경험, 지식, 스킬을 묻고 있습니다. 지원자는 태도를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태도는 추상적인 특징이 있고, 검증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습니다. 즉, 아무리 구구절절 이야기해도 특별하게 와 닿지 않는 내용이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