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로, 인사 직무는 회사의 관리직으로서 구성원들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회사의 입장을 대변하는 직무이므로 조직중심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쉬운점 1한 회사의 인사지원팀에서 인턴 활동을 하면서 주 52시간 근무제 대비 대응방안의 기획안을 작성하는 업무를 보조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경영진은 근로자에게 제공해야 할 임금 인상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기에, 기업이 수용할만한 비용 내에서 대응방안을 강구해 나가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이를 위해, 사무직 직원들의 경우 법률적 검토를 통해 초과 근무를 하더라고 이에 따른 수당을 최소한으로 지급하는 방안을 강구했습니다. 또한 근로시간이 짧아짐에 따라 어디까지를 근로시간으로 인정해 주어야 할 것인지가 중요해진 상황에서, 근로시간 인정 범위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강구하였습니다.아쉬운점 2
둘째로, 인사 직무는 채용, 보상, 교육, 승진, 퇴직에 이르기까지 한 개인이 회사에 입사하여 퇴사할때까지 모든 과정을 관리하므로, 수행해야하는 업무가 광범위합니다. 이에 따라 관리해야할 문서파일도 많기 때문에 꼼꼼하고 세심하면서도 빠르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인사팀 인턴 활동을 하면서 여러 업무가 겹쳐서 일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습니다. 신입사원 면접 진행 보조, 기획안 작성을 위한 자료 조사, 회사 조직도 및 인사 데이터 관리 등의 업무가 겹쳐서 바쁜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일의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하나 꼼꼼히 처리하여 모든 업무를 실수 없이 처리할 수 있었습니다. 아쉬운점 3
아쉬운점 1 조직중심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것이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요? 이 부분은 이런 추상적인 역량을 이야기하는 곳이 아니라 직무와 관련하여 실제 어떤 지식, 능력이 있는지를 제시하는 항목입니다.
아쉬운점 2 직무와 관련한 경험을 제시한 점은 좋으나 지원자가 직무와 관련하여 어떤 직접적인 능력이 있는지 이 글만으로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쉬운점 3 이 부분에서도 꼼꼼함 같은 추상적인 능력을 이야기해서는 안됩니다. 채용 업무에 대해서는 무엇을 알고 있는지, 보상에 대한 조직의 트렌드가 무엇인지, 승진 및 퇴직에 대해서는 어떤 지식이 있는지를 제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 내용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