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프로젝트 동안 서로의 주장과 자신의 상황을 이해해주기만을 바라는 모습, 타인을 배려하지 않는 상황에서 정체기가 있었습니다.
이래서는 좋은 결과물이 나올 수 없다고 생각하였고 자신의 주장만큼이나 타인의 주장도 듣고 자신과 어떻게 다른지 어떠한 절충안이 더 효율적인지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서로 불만족스러운 부분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고 이러한 시간을 통해 서로와 자신을 위해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는 계기로 삼자며 과열된 상황을 중재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아쉬운점 1
서로 듣는 것부터 시작하여 서로의 장점을 받아들이고 서로의 용기를 볻돋아 진행한 결과 A+의 학점을 받을 수 있었고 말하는것만큼 듣는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금 깨닫게 되었습니다.
아쉬운점 2
아쉬운점 1 사례의 구체성이 떨어져서 읽는 느낌도 특별하지 않습니다. 어떤 조직에서 어떤 공동목표를 달성하려고 했는지, 그 과정에서 어떤 갈등이 있었고, 그 갈등을 어떤 참신한 방법으로 해결했는지를 제시해 주어야 합니다. 현재의 내용은 갈등 해결 방법도 특별하지 않습니다.
아쉬운점 2 의도적을 A+ 학점을 받았다고 자랑하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왜냐하면 본 항목에서는 갈등을 슬기롭게 극복한 경험을 물었지 어떤 성과를 만들었는지를 묻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