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엔지니어 인턴에서 시작된 다양한 경험"
IT인프라 회사에서 인턴으로 근무했던 경험입니다. 왜냐하면 인턴을 하면서 학교나 학원 그리고 인터넷에서 배울수 없는 많은 것들을 직접 경험해보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배울수 있었기때문입니다. 아쉬운점 1
군 전산병으로 사단 전체 인프라를 관리해보면서 적성에 맞아 인프라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노력하였고 그 결과 인프라 구축 회사인 00에서 인턴을 하였습니다. 인턴교육 동안 Linux&Aix, VMware, X_86, storage 교육을 받으며 실습 및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다양한 고객사 IDC를 방문하며 랙설치, 서버 마운트및 OS 세팅, RAID구성, 이중화 테스트 등 작업을 하였으며 가장 인상 깊었던 작업은 고객사의 IDC에서 총 Dell서버 35대 설치 경험입니다. 초기 설치 단계에서 랙과 HW 구조를 배웠으며 OS세팅단계에서는 리눅스와 VMware vsphere를 설치하며 PC에서가 아닌 실제 서버에 직접 적용하면서 실전감각을 익힐수 있었고 서버, 네트워크장비와 스토리지간의 SAN 구조또한 볼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중화 테스트를 해보면서 지금까지 했던 작업들이 실제로 이중화 구성이 잘 되었는지 확인할수 있었습니다.좋은점 1
또한 인턴기간동안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서비스되는 클라우드가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궁금하여 AWS 공부를 하면서 웹의 기본 구조인 3tire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DMZ구간에는 트래픽 증가를 고려하여 ELB 로드벨런스럴 두고 오토스캐일링 그룹을 설정하여 nginx로 웹 서버를 뒀습니다. 또한 WAS영역은 외부에서 접근할수 없도록 LB를 내부망으로 설정하였습니다. WAS영역으로 접근하기 위해는 DMZ존의 nginx에 proxy_pass를 설정하여 내부 LB와 통신하게 하였습니다. 클릭 만으로 복잡한 설정과 상황에 따른 메일 서비스를 보며 클라우드의 강력함을 느낄수 있었습니다. 인턴경험을 통해 인프라의 큰 구성을 배울수 있었으고 더 나아가 클라우드 구축까지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아쉬운점 2
아쉬운점 1 업적이라는 말은 어떤 사업이나 연구 따위에서 세운 공적을 말합니다. 즉, 스스로 학업적으로 성취감을 느낀 경험이 아니라 특정 활동에서 성과를 내거나 공을 세운 경험을 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좋은점 1 직무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경험을 제시한 점이 좋고, 활동과 배운 점을 구체적으로 쓴 점이 좋습니다. 서버 35대를 오류 없이 설치했다면 이 내용을 업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쉬운점 2 지원 직무와 연관이 있는 경험을 제시한 점은 좋으나 업적으로 느껴질 수 있도록 내용을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