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학의 Specialist , 더 나아가 게임회사의 Generalist]
한국 사회에는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아직 깔려있습니다. 이 때문에 웹보드게임 규제로 인해 실질적으로 모든 게임회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2013년도에 TOP 5안에 들었던 네오위즈게임즈도 7위로 하락했습니다. 절대 강자였던 네오위즈게임즈가 다시 순위 재탈환 하기 위해서는 게임 마케팅의 역할과 고객데이터 분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핵심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요소들이 어떤 것 인지 회사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게임 시장의 추세와 더불어 국내, 국외의 고객들이 선호하는 것들이 무엇인지 분석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네오위즈게임즈의 분석원이 되기 위해 중요한 핵심 역량은 무엇보다도 ‘통계 프로그램 사용 TOOL 능력‘ 과 ‘소통능력‘이라 생각합니다. 딱딱한 사고가 아닌 통계적인 유연한 사고를 통해 고객들을 관리하는 시대가 도래 했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통계학에 대해 전문가이지만 다양한 학문에 대해 길을 열고 노력하였습니다. 학부시절에 통계학에 치우쳐지지 않고, 이론적으로 접했던 통계를 다른 학문에 어떤 방식으로 응용하여 적용 시킬 수 있을지 고민한 저는 복수전공으로 경영학을 공부함으로써 경영인들이 가져야 할 기본적인 부분들을 익혀나갔습니다. 저는 목표지향적인 삶을 추구하여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대학원에 진학하여 좀 더 세분화 된 통계를 연구했으며, 현대사회에 대두되고 있는 big data를 다루고 또한 경영학, 심리학, 보건학 등의 다양한 컨설팅을 맡게 되어 데이터를 분석하는 능력과 데이터를 다루는 것을 연마하였습니다. 또한 R, SAS, SPSS와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방면으로 정확한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미래의 분석전문가가 되기 위한 기초적인 틀을 다졌습니다.
둘째, 학부시절 통계학과 학생회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리더십과 융화력을 키워왔습니다. 작은 사회를 이루고 있는 통계학과에서 교수님들과 학생들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며 다양한 의견을 듣고, 제시하는 과정에서 통솔력 또한 배웠습니다. 또한, SAS KOREA의 교육팀에서 인턴을 하며, 고객들 대하는 태도, 고객의 기호파악 등 고객의 입장에서 서보며 고객주의의 사고를 키웠습니다.
저에게 네오위즈게임즈에서 일할 수 있는 큰 기회가 주어진다면, 네오위즈게임즈의 고객들에게 만족하는, 신뢰가 가는 고객의 입장에서 항상 생각하는 게임회사가 되도록 노력하는 일꾼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