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으로 느끼는 안전"
유년시절, 자전거 사고 이후, 저는 매사에 있어 안전 관련 매뉴얼을 살펴보는 습관을 가지게 되었고, 이 습관이 저를 안전한 사람으로 만들어 주었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안전공학도가 되는 꿈을 꾸게 되었습니다.좋은점 1
안전공학을 전공하며, ‘안전UCC 출연 및 제작’, ‘산업안전 및 생활안전 어플리케이션 프로젝트’와 같은 활동에 참여 하면서, 사람의 심리 및 감성에 따른 안전관리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OO중공업 현장', 'OOOO 건설현장'과 같은 현장견학에 참가하여 실제 현장의 작업 형태 및 환경을 느껴보고, 모든 업무가 조직적으로 움직여야 하는 작업 현장에서 필요한 팀워크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좋은점 2
이에, 안전을 전공하며 배운 'PSM', 'MSDS', '소방법', '화평법, 화관법'등과 같은 이론적인 지식을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접목을 시켜 나가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안전관리에 사용할 수 있는지 '눈'으로 직접 보고, '머리'로 고민하고, '손과 발'로 실천해 보고 싶습니다.
또한, 저의 안전의식을 담은 '감성안전 UCC 제작', 안전에 대한 경각심 및 지식을 수시로 알려줄 수 있는 '안전 어플리케이션 제작', 근로자들에게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안전인의 날 제정'등과 같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통해 전 직원들의 안전의식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을 해 나가고 싶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동화그룹의 '무재해 N배수 달성', '동종업계 가장 안전한 일터 1위 달성' 등과 같은 성과를 이뤄내는데에 이바지 하겠습니다.좋은점 3
동화그룹의 '행복경영'을 통한 해피바이러스에 저 또한 '동화'되듯, 항상 행복하게 안전을 전파할 수 있는 안전바이러스를 퍼트려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좋은점 1 앞서 작성한 내용이 반복되고 있기는 하지만 전공 및 직무 선택의 동기를 군더더기 없이 잘 제시하였습니다. 인사담당자가 지원동기에서 궁금해 하는 내용입니다.
좋은점 2 희망직무와 관련하여 지원자가 어떤 활동을 해 왔는지를 소개한 부분입니다. 이 역시 인사담당자가 궁금해 하는 부분이기에 호감을 가질 수 있는 부분입니다. 다만 활동에만 초점을 맞춰 설명한 점이 아쉽습니다. 학문적으로 어떤 지식을 갖추고 있는지도 함께 제시하면 더 좋은 내용이 될 것입니다.
좋은점 3 포부에 해당되는 부분입니다. 막연하게 무엇을 하겠다라고 주장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과거에 했던 활동을 토대로 앞으로 무엇을 해 보고 싶다는 내용으로 작성되어 있어 형식적인 느낌이 들지 않았다는 점이 좋습니다. 또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있는 점도 호감이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