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응용 보안이라는 수업에서 IP traceback 기법을 모델링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었습니다.
프로젝트는 Python, Hadoop, R, Arena의 4분야로 나누어 진행되었고 저는 R을 이용한 IP 헤더 필드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역할을 담당했습니다.좋은점 1 팀 구성은 무작위 뽑기로 진행되었지만 다른 팀에 비교해 저희 팀 초반 분위기는 열정적이지 않고 개인주의적 플레이가 강했습니다. 팀 회의 시간에는 주도적으로 아이디어을 제시하거나 역할에 대한 세부적인 진행 상황 보고도 없었고, 단체 카톡방에 질문하거나 의견을 물어도 아무 대답도 얻지 못했습니다. 처음에는 누군가 리드하는 친구가 있다면 열심히 따라갈 계획이었지만 소극적인 분위기에 당황하였습니다.좋은점 2 저는 팀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맡은 역할을 다한 후, ip traceback 기법을 정리하여 팀원들에게 알려주고 다른 팀원이 구성한 초기 Arena 샘플 모델을 직접 실행하여 잘못된 점을 알려주기도 하고 다른 조원이 발표할 자료를 미리 읽어보고 고칠 점을 조언해주기도 하였습니다. 그 결과 팀원들도 하나씩 최종 결과물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기 시작하였으며 분담할 역할을 나눠주기도 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팀 프로젝트에서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었으며, 다른 조원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칭찬을 전해 듣기도 했습니다.좋은점 3 처음에는 프로젝트 결과가 다른 조에 비교해 망신이 될까 봐, 성적이 걱정되어 시간을 할애했던 프로젝트에서 처음으로 팀을 리드하고 분위기메이커 역할을 하게 되었고 변해가는 팀 분위기와 진행 상황을 통해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던 경험이었습니다.
아쉬운점 1
좋은점 1 결론, 배경설명을 군더더기 없이 핵심 위주로 잘 설명했습니다. 자신의 역할을 잊지 않고 쓴 점도 좋습니다.
좋은점 2 당시의 문제 상황을 잘 설명하였습니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군더더기 없는 내용으로 잘 작성하였습니다.
좋은점 3 제를 해결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점이 좋고, 그 내용도 호감이 갑니다. 과장되고 거창한 내용이 아니라 소소하게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잘 설명하였습니다.
아쉬운점 1 이 항목은 리더십에 대한 항목이므로 글 마무리도 리더십에 대한 내용을 마무리 하는 것이 일관성 있는 마무리가 됩니다. 즉, 이 경험은 지원자가 생각하기에 어떤 리더십에 속하는 것이고 리더십의 관점에서 무엇을 배웠고 이를 기반으로 어떻게 자신의 역량을 인정받을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적절하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