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끈기 있는 행동을 통한 목표 성취”
저는 업무에 필요한 역량은 태도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합니다. 즉, 성실한 사람만이 수율 향상에 방해되는 문제점을 발견하여 끈기 있게 개선안을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기계공학과 입학 후, ‘끈기 있는 태도’로 목표를 성취한 사례가 있습니다.좋은점 1
1학년의 전공수업은 기본적인 기계공학 입문을 위한 수업이었다면, 2학년 때부터는 기본 역학을 시작으로 기계재료, AUTOCAD, UGNX 등과 같은 실무에 직접 활용이 되는 과목을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전공수업의 이해와 실력을 성장시키기 위해 수강하는 모든 과목 ‘학점 4.5를 취득하기’라는 높은 목표로 삼았습니다. 쉽지 않은 목표이지만 졸업할 때 목표를 이루었다는 성취감을 느끼기 위해 포기하지 않았습니다.아쉬운점 1
먼저, 수업이 끝난 후 곧바로 복습과 과제를 하였습니다. 만약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담당 교수님께 찾아가 도움을 요청하며 적극적인 자세로 전공지식을 습득했습니다. 자주 질문을 하다 보니 교수님께서도 열의를 인정해주시며 더욱 신경을 써주셨습니다. 시험에서도 벼락치기가 아닌 최소 한 달 전부터 공부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시험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공부습관을 지속해서 매 학기 4.2 이상의 학점을 달성하며 성적 장학금을 놓치지 않았고 졸업 평균 전공학점 4.34를 취득할 수 있었습니다.아쉬운점 2
이러한 경험은 제게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심어주었고, 전공 지식의 실력 또한 키워주었습니다. 입사 후에도 이렇게 최고수준의 목표를 세워 달성한 경험으로 수율 향상의 한계에 다다른 공정일지라도 끊임없이 노력하여 높은 수율을 달성해 내는 데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좋은점 1 내용을 시작하기 앞서 주제에 대한 지원자의 생각을 글 서두에 정리한 점이 좋습니다. 글 전체를 체계적으로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고, 사례를 바로 시작하는 것보다 훨씬 더 잘 쓴 글처럼 보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아쉬운점 1 목표설정과정에 대한 부분인데, 질문에서 요구한 수행과정에서 부딪힌 장애 및 그때의 감정과 생각에 대한 내용이 빠져 있습니다. 질문의 요구사항은 최대한 맞춰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쉬운점 2 이 부분은 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과 결과에 해당되는 부분입니다. 특별히 문제가 되는 부분은 아니지만 학과 성적을 올리기 위한 노력의 과정이 충분히 유추가 되는 평이한 내용이라 크게 호감이 가지 않는다는 점이 아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