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과 실무경험의 조화"
플랜트운영 직무는 효율적인 생산계획을 수립하고, 계획대로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재, 인원, 설비를 관리하는 부서입니다. 더 나아가 생산현장의 낭비 요소를 제거하고, 데이터를 분석해 수율 향상, 공정개선을 담당합니다. 플랜트 운영 직무를 담당하기 위해서는 생산시스템에 대한 지식, ERP 데이터 분석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아쉬운점 1
첫째, 산업공학도로서 생산관리, 품질관리, 생산계획 및 통제 수업을 수강하면서 생산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쌓았습니다. 더 나아가 CPIM, 품질경영기사 자격증을 공부하면서 생산, 품질에 대한 기반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수요예측부터 마스터 스케줄, 자재 소요계획, 조달 전략까지 공부하면서 기업 내외부의 자원의 흐름과 재고 감축 방안, 적시생산 전략에 관해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관리도, 공정능력 해석방법, 샘플링 등 품질에 대한 이론을 익혔고, 데이터와 미니탭을 활용해 통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습득했습니다.좋은점 1
둘째, 생산현장에서 근무하면서 데이터 분석 능력을 쌓았습니다. 1년 5개월 동안 근무하면서 재고관리, 출하관리, 외주관리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업무를 진행하면서 생산현장의 무수히 많은 데이터를 분석해 의미 있는 자료로 만들 수 있는 능력은 생산관리자에게 중요한 역량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ERP PP 모듈 활용능력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했습니다. ERP의 통합수불부, 공정 진도관리 등을 활용해 데이터를 뽑아내 각 제품의 월별 판매율, 재고율, 재고금액을 분석하였습니다. 또한 목표치에 비해 높으면 그 원인을 찾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훈련을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은 그때그때 노트에 기록하였고, 업무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경험은 추후 새로운 생산 지표를 제시하고 공정의 문제점을 발견,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좋은점 2
이론과 현장에서 쌓은 실무경험을 기반으로 현대자동차에서 제가 맡은 생산라인의 생산성, 수율을 책임지는 엔지니어가 되겠습니다.
아쉬운점 1 단순히 플랜트 직무를 교과서적으로 설명하기 보다는 이 회사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내용이 됩니다.
좋은점 1 전공자로서 당연히 배우는 내용을 언급한 점은 아쉽지만 구체적으로 지원자가 무엇을 공부했고 어떤 것을 알고 있는지를 제시하고자 노력한 점이 좋습니다.
좋은점 2 어떤 제조 현장인지는 구체적으로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원 직무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경험을 했다는 점이 호감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