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엔지니어의 자질"
저는 설계 직무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목표로 하는 성능이나 형상을 기획하고, 이를 구현하기위해 치수나, 재료를 고려하여 도면으로 나타내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아쉬운점 1
저는 이러한 설계 직무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대학시절 기계설계를 전공하여 기계요소들에 대한 기본 지식과 함께 CATIA, ANSYS등의 프로그램을 배웠고, 추가적으로 일반기계기사를 준비하면서 CAD와 SOLIDWORKS를 다룰 수 있게 되었습니다.아쉬운점 2 저는 이러한 대학시절에 공부한 부분을 통해 당장 전문적인 성과를 낼 수 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쉬운점 3하지만 저는 기계요소에 대해 배우고 도면을 해석하고 3D로 설계하는 과정을 배웠기 때문에 업무를 배우는 것이 누구보다 수월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쉬운점 4
"포기를 모르는 인재"
저는 이처럼 설계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역량을 갖췄을 뿐만 아니라 어떠한 문제 상황에도 포기하지 않고, 실제 사용자의 요구를 듣는 자세를 갖고 있습니다. 그 예로 대학시절 핸드자키를 주제로 선정하여 시스템 최적화 과제를 진행한 적이 있습니다. 기존에 알고 있던 전공지식을 넘어서는 부분이 많았고, 관련 서적을 찾아보며 방대해진 양에 지친 저는 포기하고 주제를 바꿀까 생각 하였습니다. 하지만 한번 목표한 것은 끝까지 해보고 싶은 마음이 더 컸고, 실제 사용자의 생각을 듣고 최적화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하여 알바를 했던 물류창고 담당자를 찾아 갔습니다. 담당자에게 들은 불편함과 개선방향을 토대로 Subsystem을 선정하였고, 유압펌프의 수정을 통한 최적화로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아쉬운점 5
아쉬운점 1 이런 식의 교과서 적인 정의 보다는 지원하는 회사에서 하는 설계직무가 어떤 일을 하는 것인지 제시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아쉬운점 2 무엇을 배웠다는 내용으로 끝내지 말고 그 결과 현재 어떤 기술과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업무적으로 어떤 작업이 가능한지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쉬운점 3 불필요한 내용입니다. 그 이유는 회사도 잘 알고 있는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아쉬운점 4 이 부분 역시 무엇을 배웠다는 내용으로 끝내지 말고 그 결과 현재 어떤 기술과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업무적으로 어떤 작업이 가능한지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쉬운점 5 이 내용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좀 더 실제적인 역량을 제시하면 좋겠습니다. 도전적인 자세나 고객지향적인 자세는 어떻게 보면 기본적으로 필요한 역량일 수 있습니다. 즉, 당연한 이야기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