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전공과목은 관리회계였습니다. 생산형태, 원가측정, 원가구성에 따른 원가계산방법 등을 수학 하였습니다. 주요 학습 내용은 첫 번째 개별원가, 종합원가, 정상원가계산의 차이와 차이분석 그리고 주요 적용되는 업종과 사례를 공부하였습니다. 두 번째로는 고정비용과 변동비용 그리고 초변동비용에 따른 원가차이를 분석하여 최적의 원가계산 방법이 무엇인지 비교하는 학습을 거치고 활동기준에 따른 원가동인을 세부적으로 분석하는 활동기준원가분석과 사례를 배웠습니다. 세 번째로는 원가, 조업도, 이익분석과 단기의사결정 및 장기의사결정을 학습하면서 손익분기점과 목표이익, 안전한계, 영업레버리지를 계산하는 방법을 배웠고 단기의사결정의 주요 방법인 총액접근법과 증분접근법, 장기의사결정의 자본예산 모형인, 회수기간법, 회계적이익법, 순현재가치법, 내부수익률법 등을 배우면서 각 분석방법 마다의 장단점을 학습하여 최적의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기법들을 학습하였으며 대체가격 결정방법을 학습하여 가격결정과 대체품결정에 있어서 제품을 내부에서 조달할지 외부에서 조달할지에 대한 분석방법을 함양하였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삼성전자의 재무제표 및 손익계산서, 제조원가명세서를 분석하여 한국의 대표기업이자 글로벌기업인 삼성전자는 어떠한 원가분석과 원가계산을 하며 어떠한 최적의 의사결정을 하는 지를 참고할 수 있었던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또한 이러한 분석과 의사결정은 관련 산업과 기업이 처한 국내외경제상황를 고려하는 신중한 비용편익분석을 해야 한다는 점을 배웠습니다. 입사를 한다면 위 과목에서 함양한 지식을 바탕으로 원가관리부서에서 기여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