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Process Innovation 채용 코딩테스트 예상 문제

조회147
23.09.05 작성


총 8문제에 

언어기초지식, 알고리즘, SQL, HTML/CSS/JS활용 관련 문제 나온다는데 

어떤 문제가 나올지 감이 안 잡히네요
혹시 도움을 주실 현직자 혹은 시험을 직접 쳐보신분있을까요?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2
  • 혹시 어떤 문제들이였는지 공유 부탁 드려도 될까요??

    23.10.23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tjqtjqdl Lv 5
    경영·비즈니스기획 / 19년차

    샘표가 저런 테스트를 한다는게 조금 당혹스럽고 의야하네요 (죄송합니다.)
    어떤 직무인지 모르겠으나, PI는 통상 프로세스 혁신, 기존프로세스를 바꾼다던가, 없던 것을 만든다던가 하는 행위입니다.
    그럼 샘표식품 재무제표도 한번 10년치정도는 훓어 보시고요.
    매출, 원가, 비용구조를 파악해보셔요. 뉴스 등에서도 정보를 얻어보시고요.

    기업에서 PI를 하는 이유는 현재 = 현상황이 맘에 들지 않아서가 큽니다.
    추정해보면, 샘표는 정체되어 있지 않을까요? 국내로 보자면 인구수는 점차 감소세이고, 저염을 지향하는 시점에 소비량,
    즉 샘표 입장에서의 매출을 급성장할수는 없을 겁니다. 간장만으로는요!!
    그럼 간장으로 매출, 혹은 이익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샘표같은 곳의 장점은 안정성이 아닐까요? 왠만한 이슈가 터져도 기업은 지속적으로 운영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 안정성 이면엔 고정관념, 관행이란게 뿌리깊게 박혀있죠.
    제가 알고 있는 팁을 하나 드리자면, 평균 연령대가 매우 높다입니다. 늘공처럼 차부장급 아재들이 많다는 건 조직이 머물고 있고 변화에 둔감하단 말이겠죠. 이런 부분에서 PI를 고민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질문의 범위를 좀 더 좁혀 보셔야 좋은 답변이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23.09.06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