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기계설계직무로 가고싶은 지거국 여학생입니다.

조회445
23.09.12 수정

현재 23년도 1학기에 졸업 수료를 마치고 졸업논문때문에 내년 2월에 졸업을 하게되는 학생입니다.

현재 학점은 3.74, 자격증은 일반기계기사, 한국사 1급 있으며 이번달에 토익스피킹 취득예정입니다. 

이번년도 하반기에는 취업시장에 들어가진 못할 것 같고 내년 상반기를 노려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직무관련 프로젝트나 공모전 등의 경험이 없어 자기소개서에 어필할 장점이 없을 것 같습니다,. 

또한, 사실 기계부문에서 여자를 뽑아 줄지도 걱정입니다.

최소한 중견기업에는 들어가고 싶은데

이번 남은 3~4개월 기간동안 어떤 걸 하는 게 좋을까요?


AutoCAD, Inventor, Soildworks 는 전문적으로 다루지는 못해도 기본 이상은 다룰 줄 압니다!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6
  • 프로필 이미지
    설계엔지니어 / 21년차

    중견기업규모의 기계부문 설계분야를 고민하고 계신다고 보입니다. 사실 어떤 회사명 또는 분야가 확실히 정해져 있는
    것이 가장 조언 받기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설계자 직무능력을 일부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저라면 하기 능력들 중 가장 보편적인 Software 제작 능력(일명 코딩)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설계업무를 경험하고,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는 설계프로그램 또는 업무처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고, 개발은 곧 자기능력향상과도 연결되기 때문 입니다. 실제경험으로 한사람이 2개월 (하루 8시간) 내내 하던 일을 10분이내에 끝낼 수도 있습니다.

    1. 2D/3D tool 조작능력: 분야에 따라 Catia, Pro E, Solidworks 등이 필요하고, AutoCAD는 전분야에서 필요합니다.
    2. 정역학, 재료 역학, 동역학, 열역학 등에 대한 이해도: 회사별로 차이가 있을 거로 보입니다. 엔지니어끼리 설계할때
    대화를 하는데 문제가 없는 정도의 지식이 필요합니다.
    3. CAE 조작 및 원리이해: 회사별/분야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사용 프로그램도 차이가 있고, 필요성 여부에 대해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4. Software 제작능력: 회사별/분야별로 차이 없이 필요한 능력입니다. 단, 회사별로 활성화된 회사가 있다면 그 회사
    괜찮은 회사일거라고 저는 봅니다.
    5. PLM/ERP/MES에 대한 이해: 도면을 제작하고, Eng-BOM, Manufacturing-BOM과 이를 운영하는 시스템에 대한 개념
    이 필요합니다.

    좋은 곳에 취업하기 바라겠습니다.

    23.09.13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설계엔지니어 / 3년차

    실무 가면 설계맥락에 큰 차이 없는거 같음. 캐드 폼이 어느정도 되면 스케치업 다뤄보는 것도 괜찮은 듯.
    성별은 크게 의미 없는거 같고, 회사는 글쎄.. 갈곳은 많고 좋은 곳도 많은데 잘골라야 함.

    23.09.13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대학교수·강사 / 36년차

    훌륭한 젊은이입니다. 참고로 저는 기업체 대표가 아니므로 채용기준이나 가이드는 할 수 없습니다.

    다만, 제 사견입니다. 학창 시절을 잘 보낸듯 합니다. 이제부터는 자기자신이 가진 장점을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기업체에서 많이 아쉽고 필요로 하는 부분을 준비하십시요. 즉, 예를들면 여학생, 기계공학, 각종 자격증, CAD활용은 큰 장점입니다.

    저는 자신감부터 갖기를 원합니다. 일반 남학생에 비해 약점이 아니라 오히려 여성이란 점이 강점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캐드외에 CAM. 프로그래밍도 하시면 좋을텐데 못 했다면 CAE도 조금씩 준비하세요. 인벤터의 경우 나스트란 이라는 구조해석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많이 어렵지않으니 조금씩 보시기 바랍니다.

    100중에 10 이라도 배우면 아주 유리합니다. 설계능력이 입증되니까요 Ansys는 비싸서 못했다면 다
    른 거라도 유한요소 기초부터 책 사서 보면 후에 큰 도이 됩거니다. 재료역학도 필요부분 다시 좀 보구요.

    그리고 시간이 남는다면 영어공부, 어학은 반드시 필요하니 잘 준비하세요. 그러면 시간이 부족할 것입니다. 주요정보를 실시간으로 참고할 경우가 많습니다. 구글번역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사람 포트폴리오도 좀 살피시구요. 젊은이의 앞길을 응원하고 건승을 기원합니다.

    23.09.13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생산·공정관리자 / 8년차

    기계라는게 워낙다양하다보니 단순히 기계설계라고 하면 너무포괄적이고 눈여겨본회사가있으시다면 거기서생산하는 기계들을 홈페이지나 여러사전정보를 알아보시고 이력서에 어필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또한 설계직종은 면접시 테스트가있을수있습니다 툴은기본이고 기계설계에대한 기본상식정도는 공부두는게 좋을거같습니다

    23.09.13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한방만 Lv 3
    설계엔지니어 / 18년차

    Nx나 catia제푼군 교육도 무상교육으로 있는지 확인 하시어 가능은 많은 3D툴을 사용해조시는걸 추천드립니다

    23.09.13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생산직종사자 / 10년차

    중견 먼저들가실거면 학력이 좋아야함... 우선 중소에서 2년이상의 경력을 쌓은 후 중견으로 가시길 추천해봄... 중견 바로들가려면 학력이 좋거나 인맥있어야 합니다... 기계부문 쪽 설계 여성분들 많아서 ㄱㅊ고요...

    23.09.13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