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품질관리 생산관리

조회521
23.10.21 작성

지금 품질관리랑 생산관리 직무를 고민중 입니다. 아마 자동차쪽 산업으로 갈것입니다.

제 주변에 생산관리랑 품질관리를 하는 친구들이 있는데 이런말을 하더라구요.

생산은 중간정도의 스트레스가 계속 되는 느낌이라면 품질은 일이 터지기 전에는 괜찮다가 어떤 시즌이 되면 말도 안되게 힘들어지고 그게 지나면 또 괜찮아 진다고 하더라구요.

혹시 이 말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저 말이 맞다면 군대에서도 2달동안 9시30분 퇴근 했던거 생각하면 품질쪽에 더 관심이 가는거 같습니다.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9
  • 생산관리 품질관리중 어떤게 나은가를 묻는다면 저는 품질관리가 낫다고 봐요 둘다 업무 차이는 있지만 생산관리는 생산할 상품을 관리 하는건데 품질관리는 사출 및 보조품 같은거 관리하는거라서 소형부품이나 일부 부품을 품질관리 하기 때문에 어렵지 않습니다.

    23.10.22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16년차

    자동차 품질쟁이 로써 한말씀 드리자면 출근과 동시에 불량 및 각종 고품 그리구 외주 업체 및 상위 납품 업체 등

    대책서 및 각종 성적서 라인 공정에서 불량 발생시 제조랑 협업 해서 개선 및 불량 줄이는 개선 회의 등

    몸도 힘들지만 정신적 스트레스가 많은게 자동차 품질 입니다. 출근만 있구 퇴근은 없는 그런걸 다 극복 하실수 있다면

    자동차 품질 추천드립니다, 지금도 출근해서 대책서 쓰고 있는 사람 입니다,,,

    23.10.2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매장관리자 / 11년차

    품질은 회사 전반을 다 알아야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발주 입고 공정 납품 심지어 영업 초도품 관리 그리고 불량 처리 AS, 클레임 그리고 중요한건 도면은 어느 부서 누구 보다 잘 알아야하고요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주말에 공장이 생산하고 있으면 품질은 그걸로 문제 생겨서 불량나면 책임 1순위입니다 그리고 모기업 검사관 대응 접대 정부에서 시행하는 각종사업 협조........... 이게 진짜 품질부서는 타부서랑 협조및 지시할일 겁나게 많은대 거기서 문제 생기면 최종 검사및 책임 1순위 부서라서 깡다구도 있어야하고 싸움닭 기질도 필요하죠

    23.10.2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43년차

    자동차의 어떤 부품을 생산하는 회사로 취업하실지 모르겠으나
    품질업무 추천하지 않습니다.
    겅사외 고객불량대응 각종 스민업무 또 SQ 및 IATF16949 심사대응등등

    엑셀 사용을 잘 하시고
    생산 프로세스를 쾌차고 계시면
    생관을 추천드립니다

    23.10.2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생산·공정관리자 / 31년차

    품질로 시작해서 생산으로 갈수 있다면 좋은 커리어를 만들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환의 기회은 거의 없다고 보셔야 맞을겁니다. 자동차 쪽은 완성차나 부품업체나 품질은 생산대비 힘든 직무입니다. 대량 양산을 하는 산업군에서는 생산, 품질모두 열심히 해야 하는 직군 입니다.

    23.10.2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10년차

    할거면 을“인 회사 보다 갑”인 회사에서 시작하는거 추천

    23.10.2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QA / 3년차

    사실이에요 품질 바쁠 땐 너무 힘들어요

    23.10.2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생산·공정관리자 / 19년차

    품질관리. 생산관리. 비슷한 성격의 업무입니다

    23.10.2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생산·공정관리자 / 14년차

    본인한테 맞는 직렬이 스트레스를 덜받겠지만, 스트레스도 감수할만큼 좋다면 다르죠. 품질은 생산이가능하지만 생산은 품질을 할수 없죠. 그만큼 품질이 스트레스는 있을수 있지만 성취감도 높죠. 장기적으로 자기개발면에선 품질을 권합니다

    23.10.21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