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실업급여

조회163
23.11.04 작성

2년가까이 일해온 직장 자진퇴사를 했는데요

자진퇴사 예외사항이 있다고 하더라구요

그 예외사항 항목에 제 상황이 해당되는지 궁금합니다.


2년간 일하면서 처음 몇개월만 최저시급+주휴수당 지급되서 제대로 받았다가 장사가 안되서 주휴수당을 못주겠다 괜찮겠냐해서 고민끝에 실업자가 되느니 주휴 못받아도 다니는게 나을거 같단 생각에 다녔습니다. 이런 경우도 실업급여 받을수있나요?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댓글을 입력해주세요.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부적절한 댓글은 비노출 또는 서비스 이용 정지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0 / 1,000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댓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댓글 2
  • 프로필 이미지
    DBA / 7년차

    2년하고 계약만료나 회사측에서 해고 통보 하면 실업급여 사유가 되고, 자기 의지로 사직서를 직접 내는거면 사유가 안됨.

    23.11.05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물류관리자 / 10년차

    2년동안 근무일수나 시간도 봐야 하지만 회사에서 퇴사사유를 권고사직이나 계약 종료등 근로자는 근무하기 희망하나 회사측 사정으로 퇴사했다고 해야하는데, 만약 회사측에서 근로자가 희망하여 퇴사했다고 신고 하면 못 받습니다

    이부분 확인해보시고
    자진퇴사 예외사항은
    장기간 급여를 못 받거나 회사가 옮기거나 전근으로 출퇴근이 어렵거나
    회사가 부도 혹은 폐업, 근무를 하기 어려운 질병, 회사에서 불합리한 차별이나 괴롭힘 등 입니다

    23.11.04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