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생산직과 생산관리는 업무 스타일이 어떤가요?

조회1,627
23.11.19 작성

현 나이 25에 저는 2년 전문대 기계공학과 나왔지만 재고관리를 계약직으로 했었습니다. 업무 스타일이 일 빨리 하거나 없는 날에는 쉬는 시간도 많았던 날도 좀 있어서 좋았습니다.


전공 함 살려서 생산직 아니면 생산관리 해볼려 하는데 근무 스타일이 궁금합니다. 근무 스타일이 쫌 여유롭지 안나요?

2시간 일하고 10분 쉰다던가?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16
  • 프로필 이미지
    반도체엔지니어 / 30년차

    생산직은 질문자님 말데로 2시간 일, 그리고 10분 휴식시간이고, 생산관리는 유동적인 업무이다보니, 고객사 전화응대많구요, 사내 자재 및 영업 부서 납품 일자 등 조율할 부분 상당히 많구요. 새이산 현장의 생산일정, 그리고, 생산라인 별 설비 프로그램 등 신경쓰실 일이 상당히 많아요. 또, 님이 생산계획해서 생산 걸었을때, 시간당 S/T 감안해서 몇시경 생산종료되는지도 알아야하고, 만일 예정시간에 끝나지 않으면, 생산현장 관리자랑 소통해야하고, 생산관리 거저 일하는것 아니랍니다. 또한, 납품 일정 못 맞추면 영업과도 소통해야하구요
    자재 일정 안되면 자재과랑도 소통해야하구 여간 힘든 일 아니랍니다 참고 하세요

    23.11.1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15년차

    생산직은 SCV. 생산관리는 게이머. 도움이 됬을까요?

    23.11.22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하드웨어개발자 / 33년차

    좋은 전공을 가지셨네요
    생산직과 생산관리를 말씀하셨는데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생산직이라 함은 말 그대로 생산 오더에 맞추어 자재를 점검하고,
    생산 설비, 검사설비, 제조인력을 점검하고 공정을 설계하며, 당일 ORDER에
    맞게 생산량을 맞추는 업입니다.

    그러나 생산관리는 공장이 가지고 있는 생산환경(설비, 인력, 자재)을 점검하여
    목표생산량을 결정하고 출하까지 관리해야 하는 것입니다.

    님이 기계공학과을 전공하셨다면 생산이나 생산관리 보다는 제조혁신 업무를 하셔서
    설비, 제조 치공구 등을 개발하는 업무가 더 좋을 듯 합니다.

    23.11.2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인사담당자 / 6년차

    생산 관리는 생산직분들 관리해야해서 아무래도 인간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있지만 몸쓰는일은 생산직보단 덜합니다.
    생산직은 그 반대이구요.

    23.11.2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생산직종사자 / 15년차

    지계공학 이시면 전문살려서 도면이나 생산쪽 전문 기술 배우시면 좋치 안을까 제 생각은 그렇습니다.

    23.11.2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생산·공정관리자 / 18년차

    생산 관리 정년 보장하기 힘든 직군 고임금 되면 회사에서 짤리는 일순위되니 너무 한 직장 충성 하지말고 년차별 보아가면서 연봉 올리시고 다른 일도 병행 하는게 나이 들어서 고생 않해요 제 경험에 비추어 이야기 드립니다

    23.11.19 작성 신고
  • 생산직은 말 그대로 근로자가 제품이나 공정품 제작, 제조 또는 생산 실행 업무에 주도 또는 설비 가동 생산시 참여하는 현장직 또는 관리직 직종이고, 생산관리는 생산계획과 재고관리 더 나아가서는 영업과의 긴밀한 업무 협조를 하는 관리직 직종입니다. 신체적으로 좀 더 편한 것은 아무래도 생산관리 직종이겠죠.

    근무 스타일이라면 케바케일 것 같군요.. 생산은 좀 더 육체적인 부분을 강조할 것이고, 생산관리는 좀 더 정신적인 것을 강조하겠죠.

    23.11.1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생산·공정관리자 / 18년차

    한직장 오래근무 하시려면 생산관리인데 현장 시다바리..
    전공살려서 이직과 연봉을 높이시려면 개발쪽 추천요
    재고관리 비추입니다

    23.11.1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영업관리 / 21년차

    맘편하게 일하는건 생산직이 좋아요 몸이편하면 머리가 아프죠 ㅎ 생관은 생산의 막중한 임무를 띠는 직업군이라 필요한자재 재고 .인원 . 등 생산의 중요부분을 파악하고 생산의계회을 짜야하는 일입니다

    23.11.1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공장관리자 / 36년차

    생산관리업무에 대해 용어를 회사마다 상이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라는 것습니다.
    대기업에서 생산관리는 생산업무 전반을 관리하는게 생산관리입니다.
    생산관리업무를 나열하면 생산기획,생산운영,공정관리,출하관리,재고관리 등이 있으면 타조직과 연계되어 업무를 합니다

    23.11.19 작성 신고
  • 항상최선과노력으로업무에임하겠읍니다.

    23.11.1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공정엔지니어 / 17년차

    중견기업 이상 생산관리는 대졸자들이 관리자로 근무합니다. 윗분들 얘기처럼 단순업무가 아니고 관리 넓게는 경영까지 포함되는 개념으로 보면 될것같습니다.

    23.11.1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생산·공정관리자 / 27년차

    편한일을 찿는다면 지금하고계신 재고 관리를 추천합니다.
    생산직, 생산관리는 중소 기업에선 대표적인 3D직종임.

    23.11.1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생산·공정관리자 / 21년차

    중견기업 이상 취업 하신다면 좀 여유도 있겠지만
    규모가 작거나 체계가 없는 곳에서는 어려울 것 같네요. 일이 많아도 없어도 힘들어요.

    23.11.1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생산·공정관리자 / 2년차

    생산직 - 현장에서 직접 생산
    생산관리 - 생삭직 인원 관리 및 생산계획 수립
    생산성 관리 등등

    23.11.1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4년차

    생산직은 말 그대로 생산적인 일을 하는 현장직
    과거 재고관리 때 보다 정신이 편하나 몸이 힘들 수 있음

    생산관리는 그 생상적인 일을 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사무직 임
    과거 재고관리때보다 몸은 편하나 머리가 조금 더 아플수 있음

    23.11.19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