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QA QC 이직 관련 질문입니다.

조회1,256
23.11.23 작성

안녕하세요 96년생 28살 남자입니다.


저는 수도권 전자공학과 4년제 졸업하여 21년도 3월부터 전자계열 하드웨어개발로 일하다가

회사 이전으로 인해 전보다 집과 많이 멀어지게 되어 이직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직무를 바꾸고 싶은 이유는, 

지금 다니는 회사에서 업무역량 인정을 못 받아 제 주도적으로 할수 있는 일이 없었고, 

단순 반복적인 일만 하는 상황이 반복되다 보니 

거의 만 3년이 다 되어가는데 경력이직을 넣을 때도 현재 회사에서 했던 일을 경력기술서에 녹여내기 많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나중에 전임, 선임, 책임 ... 직급이 올라갔을때 밑에 후배들을 잘 끌고 갈 자신이 없구요.


그러다 보니 제조업으로 연관되어 있는 품질관리 품질보증 직무 쪽으로 이직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뭐부터 시작할지 감이 잘 안잡히는군요


이야기가 많이 길어졌는데 궁금한거 여쭤볼려고 합니다.

1. 코멘토 직무부트캠프에 있는 APQP 품질 들어볼까 생각하는데 도움 될까요

2. 자격증은 어떤어떤거 따면 될까요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8
  • 프로필 이미지
    공정엔지니어 / 7년차

    전자계열이 감은 잘 안오지만, 품질도 선행품질, 양산품질등 굉장히 여러 분야가 있습니다.

    보증을 말씀하셨는데, 절대 만만한게 볼 영역이 아닙니다.

    차라리 개발 품질 영역을 노려보시는건 어떨까 싶네요.

    그리고 만3년이 얼마 안남으셧다면 채우시는걸 추천드려요.

    그리고 pvb, 회로, 전기등 좀더 상세하게 질문을 해주시면 해당 경력자분들이 보다 상세한 조언이 가능할 것 같아요.

    23.12.0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기계엔지니어 / 17년차

    APQP도 품질 업무의 한 부분으로 도움이됩니다
    어떤것이든 품질관련 자격증이 있으면 관련업무로 도움이 됩니다.
    제조업은 측정(당회사에서 생산되는 부품의 검사) 이 기본이고 이와관련된 여려가지 품질기법들이있습니다
    품질 시스템과 국가표준규격(ISO/TS) 등에대한 이해도 필요하구요
    품질의경우 회사의 모든 제조 공정을 함께 공부할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불량이 발생 할 경우 고객 대응에 있어서 갑질도 경험 할 수 있으니 염두에 두세요

    23.11.2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3년차

    오스테오시스 로오세요

    23.11.28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6년차

    자격증은 품질경영기사 취득하시면 되고 다른 직무 부트는 따로 듣는다고 크게 도움될것 같지는 않습니다.
    어차피 자격증안에 다 녹아 들어있는 내용이거든요
    품질도 QC QA RA 어떤 직무를 하는냐에 따라서 하는 업무가 전부 다르고 제조업이라는건 너무 포괄적입니다.
    의료기기 품질이냐 제조업 품질이냐에 따라 사용하는 기법이 다르고 자동차랑 일반 제조업은 또 사용기법이 다릅니다.
    또한 품질업무는 내가 고객사냐 협력사냐에 따른 업무 강도 차이가 상당히 심합니다.
    저도 기계설계 전공으로 하드웨어팀에서 근무하다가 품질업무로 직무를 틀었는데 그냥 하드웨어팀 업무 쭉 하시는게 저는 좋다고 봅니다. 궁금하시면 skd0147 네이버 메일로 연락주세요

    23.11.27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19년차

    품질보다는 경험을 살려 하드웨어 엔지니어로 계속 유지하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회사 업무의 80%이상은 단순업무입니다. 하지만 단순업무를 하더라도 성과를 이끌기 위해 노력을 한다면 경력기술서에 작성할 부분은 엄청나게 많이 표현하실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기업은 품질보다는 개발&영업조직으로 운영이 되기 때문에 뒷마무리 업무가 엄청 많습니다. 그렇다고 인정 받기도 쉽지 않습니다.

    23.11.27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7년차

    의료기기 전자회사 인허가 업무 괜찮아요. RA 전문가 2급 따시면 좋아요. 하는일은 GMP, ISO13485 인증 업무 입니다.

    23.11.2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생산·공정관리자 / 1년차

    음..솔직히나이도 괜찬으시고 경력믄솔직히 그저그런정도잎니다.제 주콴적 생각입니다.기분상하셨다면 미안합니다.우선 전 조선업만했습니다..
    우선적으로 제조업 무엇을 할지 정하신 다음 그다음 스텝을 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어느직종을 하느냐에따라 자격증 을요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어느쪽으로하실지를 실중히 객관적으로 정하세요..또한 조선쫔으로 생각이나 궁금한건.
    k788@네이버로 문의주심 알고있는선에 알려드릳께요..
    참고로20년차입니다

    23.11.2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인사담당자 / 6년차

    직무 이전보다는, 본인의 역량은 인정해주는 비슷한 직무로 회사를 이직하시는건 어떨까요?

    23.11.23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