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주재원파견 가야하나요?

조회576
24.01.29 작성

안녕하세요 전직장은 대기업 계열사(매출액 약3000억 제조업 상장사)에서 회계팀으로 약 1년 3개월 근무 후 퇴직해서 약 6개월정도의 공백기간이 있습니다.

다시 재취업을 하려고 알아보던 사이 중견기업급(매출액 1100억 제조업 비상장) 회사에서 회계/재무직 주재원(중국) 오퍼가 왔습니다.

전직장 근무경력이 짧다보니 아직 미숙한점도 많아 신입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한데요

만약 중국에서 근무 시 커리어 측면에서 득이 많을지 실이 많을지 고민이 앞섭니다

각 나라마다 적용하는 세법도 다르다고 하고 회계처리도 다르다는 얘기를 들어서요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ㅠ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6
  • 프로필 이미지
    회계담당자 / 16년차

    간단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경력 1년3개월 그후 공백기 6개월정도, 본인도 알고 계시는점 근무경력이
    짧고 신입이라 봐도 무방하다고 알고 계시는데 중국에서의 근무든 태국에서의 근무든
    공백기간이 더 길면 길수록 불리합니다. 그리고 걱정하는 각나라마의 적용세법이 다르고
    회계 처리도 다르다고 생각하시는데 나라별로 다른건 크게 없습니다 회계기간이 다른부분
    연말보고서 제출기간 이 나라별로 좀 상이한점 아니면 중국회계는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이
    다르게 회계기준 적용하는점, 발생주의 회계처리 미적용되는점,리스회계 미처리,기타 항목이
    IFRS랑 좀 다른점이 있습니다. 그런 부분은 본인이 담당할 일이 아니고 경력이 훨씬차고 업무
    에 능숙해져야 진행하게될 업무이니 그런 걱정은 1도 안하셔도 됩니다. 그러니 공백기간이
    더 길어지기전에 좋은 직장이라면 중국이든 태국이든 인도든 가서 부딪혀 보는게 좋다고 생각
    됩니다.



    24.02.0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경리 / 17년차

    주재원 발령나면 중국사람들과 합을 맞춰나가야 합니다.
    다른건 재껴두고! 위 사항을 먼저 고려하십시오!
    다른 국가민족끼리 합을 맞춘다는거 쉽지 않은일은 분명합니다.

    중국가서 엄마가 보고싶네! 옵빠가 보고싶네 징징거릴것 같음 애 저녁에 포기하고!

    24.01.3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재무담당자 / 16년차

    저는 주재원 파견을 적극적으로 추천합니다. 특히 중국이라면 더욱더 가면 좋을 것 같아요. 세법이야 다르지만 하시다보면 기본틀은 거의 비슷합니다. 금방 익히실 겁니다.

    24.01.3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회계담당자 / 23년차

    해외주재원의 경우 해외근무에 따른 대우 및 조건 확인부터해보심이 좋을듯 싶습니다.
    개인에 따라 해외근무를 선호할 수도 있고 급여쪽에 메리트가 있어서 나가시는분도 있으니까요
    복귀후 관련 직종에서는 메리트가 될 수 있으나 국내복귀후 동회사 근무시 회사에 따라 더 인정해줄수도 아님 자리가 없을수도 있으니 좋은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24.01.3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경영·비즈니스기획 / 7년차

    이런 경우는 흔하지 않은 경험이라 다녀오시면 좋은 경험이 되실 것 같습니다

    24.01.3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매장관리자 / 16년차

    좋은기회니 가세요 ~ 많은 도움 되실거예요^^
    다만 중국이라는 나라가 쉽지는 않습니다.

    24.01.30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