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30대 중반 진로 상담

조회801
24.02.12 수정

현재 91년생


몇 년간 식품회사 생산직을 다녔는데 미래가 없는 걸 진작에 깨닫고


미리 미래준비를 했어야했는데...


이제라도 내적성에도 맞으면서 미래도 있을 만한 일을 하기 위해서


적성 테스트도 하고 그에 맞는 국비지원 교육도 찾고 했는데요.


그래서 찾아낸게 현대건설 기술교육원 교육쪽을 생각하고있습니다.


1.공조냉동산업기사

2.전기설비시공실무

3.안전보건관리


이 3가지중에 전망이 어느쪽이 좋은지.


그리고 제가 지방에 살고있는데

서울에가서 현대라는 대기업 교육기관 이름을 믿고 저기서 기술배우는게나을지

그냥 사는지역 국비지원을 받고 비슷한 교육을 받는게 나을지 고민되는데


어떤게 좋을지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13
  • 프로필 이미지
    시설관리자 / 34년차

    반갑습니다.
    젊은나이에 먼저 도전을 하신 뜻에 높게 평가하고자 합니다.

    공조냉동산업기사 와 전기산업기사를 저는
    추천합니다.

    전기산업기사 취득후 2년 경력으로 전기설비
    무제한 선임가능하며, 취업시 350~400
    정도 하는걸로 생각합니다.

    저는 적극적으로 공조냉동산업기사, 전기산업기사
    추천합니다.
    감사합니다.

    24.02.1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시설관리자 / 21년차

    2. 전기설비시공실무

    24.02.1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기계엔지니어 / 35년차

    평생 직업을 고려하면 늦지않은 젊은나이십니다
    엔지니어는 경력과 더불어 꾸준이 성장할 수 있는 좋은 선택입니다
    2번과 1번이 좋을것 같습니다

    문제는 강사의 수준입니다
    강사의 강의실력을 알 수 없어서 해답을 드릴 수 없네요.

    24.02.1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설비엔지니어 / 30년차

    이전에 식품회사에서 사회생활 경험 하셨네요.
    요즈음 추세는 건물이나 시설물의 경우 기계설비유지관리자,전기안전관리자,소방안전관리자를 채용합니다.

    기계설비유지관리법과 시설물관리법등이 시행되어 관리자가 꼭 채용되어 선임되어야 합니다.
    기계설비유지관리자는 공조냉동산업기사및 에너지관리 등 자격이 있는사람중 경력연차에 따라 초중고특급으로 분류하여 선임하고
    전기안전관리자도 전기산업기사,기사 자격자로 용량에 따라 선임하고
    소방안전관리자도 아파트 세대수.건물 연면적 등에 따라 선임합니다.
    3가지 자격 모두 법적으로 의무선임 입니다.

    지방에 거주하시면 가까운 직업훈련원.폴리텍대학에서 공조냉동산업기사 연수하시면 경비절감및 효과적인
    교육이 될것 같습니다.
    자격이 취득하게 되면 초반에 배우면서 전기산업기사 자격도 관심을가지고 공부하시고
    자신이 원하는 지역에 관심을 가지고 취업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저 경험으로 공조냉동산업기사를 먼저 취득하여 직장생활 정년후 소방안전관리자 1급을 취득하여
    제2의 직장생활을 특급호텔 시설팀장으로 재직중입니다,
    힘내세요~화이팅~!

    24.02.13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시설관리자 / 37년차

    제가 경험한 바에 따르면 나이가 아직 젊으신 분이시네요
    그래서 지방근처에서 교육을 받는게 좋을것 같고 가능하다면
    전기기사(산업기사)쪽 공부하시면 좋은것 같고 자격증 취득후 서울로 오시는게 어떨런지요 .
    그후 공조냉동산업기사 안전보건 쪽도 공부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이야기는 순전히 저의 생각입니다.

    24.02.13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시설관리자 / 17년차

    우선 현대라는 기업이 운영하는게 맞다면
    1,2,3순서대로 진행하되 자격증 취득이 제일 선순위라 추천합니다. 냉동이든,전기든,안전이든 자격증 취득이 우선입니다. 기능사부터 취득하고 실무경험 쌓으며 관심과 적성이 맞는쪽 추천합니다. 적성이 안맞으면 모두 시간낭비 입니다.
    사업은 사회경험,경력없이 한다는건 준비운동없이 바닷물에 뛰어드는것과 같습니다.

    24.02.12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소방설비 / 15년차

    안전 관리 분야로 알아보세요
    국비 지원 추천
    중대 재해법 확대 적용으로
    안전관리 분야 수요 증가

    24.02.12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경영·비즈니스기획 / 36년차

    우선은 본인의 비전과 목표가 무엇인지 정해야 할 것입니다
    사업의 꿈을 갖고 있는지 아니면 취업의 목표가 있는지 정하여 그것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별 계획을 정한 후 실행하시는 게 좋을것임.
    우선 현대 교육기관에서 기술교육을 받고, 인맥을 형성하는 것이 좋음. 사설기관과는 현대그룹에서 하는 교육은 목표, 체계, 강사수준 등에 있어서 다르므로 할 수 있으면 받으시는게 베스트임. 교육을 받으면서 국가기술자격증 도전은 필수이고, 강사부터 교육생 간의 사람을 사귀어 향후를 도모하시길.

    그런 다음에도 필요시 사설 교육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한, 3가지 기술은 모두 필요한 것으로 모두 배우시고 자격증 취득이 필수임. 우선 순위를 두어 하나하나 집중 공부하시길

    24.02.12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현장관리자 / 44년차

    전기 취업 가능

    24.02.12 작성 신고
  • 예전엔 1,2번 기사를 별도로 분리해서 채용했지만 요즘은 1,2번을 통합 기전기사라하며 우대채용하는 추세입니다
    님과같은 세대면 전기실무를 먼저 따고 공조냉동을 하는것을 추천합니다 합격율을보면 전기가 낮지만 그만큼 미래도 보장된다는 뜻이겠죠
    교육은 취업을 생각해서라도 꼭 서울쪽이 아니더라도 수도권내에서 받길 권합니다

    24.02.12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26년차

    전기설비시공실무를 추천하며, 가능하면 서울에서 교육받기를 권합니다

    24.02.12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현장보조 / 4년차

    1번 2번 다배우면 좋은데 그건 힘들고
    둘중 선택 하시고. 3번은 절대 하지마세요
    서울 에서 배우세요 나중에 취업도 생각하셔야지

    24.02.12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실내디자이너 / 5년차

    전기설비시공실무가 좋긴하겠네요.
    그리고 서울이 좋긴하겠지먄 취업까지의 시간에 지출되는 비욘을 생각한다면 살고계신 지역에서 국비지원을 받으며 목표 달성이 좋으시겠네요.

    24.02.12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