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정직원이되면?

조회422
24.05.13 작성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7
  • 프로필 이미지
    생산직종사자 / 10년차

    정직원이 되고 연차가 쌓여도
    직급이 올라도 직급수당만 붙는 회사 같군요
    일하시기 전에 면접 진행하기 전 화장실이나 식당 둘러보고 결정해보시는것도 좋습니다
    조금 급하시면 알바로 해보시면서 경험을 쌓는것도 도움됩니다

    24.05.1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생산직종사자 / 9년차

    정규직(상용직), 아르바이트직(계약 or 시급 위주로 급여를 책정하면서 언제까지 일하는지 기한을 작성하지 않는 경우) 정식 입사 준비 과정이 차이가 납니다. 정규직(상용직)의 경우 시급과 무관한 연봉제로 계약이 체결되면서 근로 기간이 정하지 않는 기준을 정립되며, 풀타임 하루 8시간 기준으로 근무해야 합니다. 정규직(상용직)은 근속 연수가 쌓을 수록 승급(승진), 급여 상승(연봉계약 갱신) 기회가 주어집니다. 아르바이트직의 경우 근무 연수와 상관없이 정부가 공표하는 시간당 임금 책정이 인상되지 않을 경우 그대로 유지됩니다.
    정규직(상용직)의 경우 기한이 정해지지 않았다고 안심할 수 있지만, 책임 비중이 매우 높습니다. 규모 있는 회사에서 추진하는 프로젝트나 큰돈이라는 회사 재정을 지출한 프로젝트를 망치거나 잘못되었을 경우 민사적 손해배상 책임이 따르게 됩니다. 일반 평사원의 경우 책임이 모면할 수 있지만, 대리급 이상과 과장과 부장 등 실무자의 경우 수억원의 손해배상 책임을 짊어지거나 회사로 부터 고발당하는 위험성이 뒤따르죠. 승진에 관심을 안가지는 이유도 이때문입니다. 아르바이트직은 연봉제가 아닌 시급제 특성상 리스크가 매우 낫은게 장점이자 연령 제한이 없을 정도로 기회가 많죠.
    규모있는 회사의 경우 정규직(상용직)의 경우 본사 사무직(서비스업, 연구)의 경우 체면이나 이미지 관리 명목으로 연령 제한이나 차별이 존재하며, 공장이나 제조 등 현장직의 경우 연령에 제한받지 않을 정도로 다양한 연령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현대자동차 울산과 아산 등 제조 현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이나 새로 입사한 신입 직원들의 경우 연령 구성대가 아주 다양하며, 20대부터 40대 중후반 50대 등 다양하죠.
    현대차라는 노조 문제 등 온갖 논란을 떠나서 고용에서 연령 차별을 하지 않는 모범 사례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비즈니스는 회사간의 거래행위나 고객과의 거래할 때 대상이자 주체는 연령에 구애받지 않죠. 유교 문화탓에 후퇴하고 있지만, 개방과 포용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24.05.1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생산직종사자 / 36년차

    회사지급 기준으로 좋습니다

    24.05.1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8년차

    급여는 최저임금 입니다
    그 이후에 회사마다 프로모션이라던지
    혜택이 다릅니다 없는곳도 있구요

    24.05.14 작성 신고
  • 일은 더하고 급여는 사장마음 ㅋㅋ

    24.05.14 작성 신고
  • 최저임금이 곧 최고임금

    24.05.1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생산직종사자 / 14년차

    사정따라서

    24.05.14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