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담당업무가 많다?! 지원해야 할까요?

조회1,227
20.08.03 작성
창립한지 얼마 안된(올해 5월) 회사에 취업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방이고 코로나 여파로 자리가 많이 없는 상황에서 겨우 나온
일 자리인데요
공고에 명시된 담당업무가 좀 여러개입니다
‘설비유지보수, 재고수불관리, 생산보조’ 인데요

시설기계관리 경험자와 전기기능사 보유 우대라고 하는데
이런 회사에 취업하면 어떤 일을 하게 될까요??
마냥 공부하기 보다 돈도 벌면서 경력도 쌓게 취업하는게 좋을까요??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19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14년차

    시설 기계관리 업무는 일간.주간.월간.분기.년간 계획서를 만들고 체크하는 업무를 수행하거나 작업자에게 지시하는 일입니다. 기존 담당이 있었다면 좋겠지만 신규로 만들어야 한다면 브레인스토밍을 해서 작성하는게 우선 업무겠죠. 기계는 일간 주간 월간 정비를 하지 않으면 나중에 큰 고장이 나니 중요한 일입니다. 그에 따른 장비 부품을 적정수량 보유하도록 관리하는 일입니다.

    전기기능사 업무면 시설장비가 전기를 사용하므로 기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는 의미 같습니다.

    장비 오퍼레이터가 아니라면 실질적으로 손에 기름 묻을 일은 아닌거 같네요.

    업무가 포멧이 없이 범위가 넓으면 쉽게 지칠 수 있으니 체력관리. 시간 관리가 필요합니다

    20.08.0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10년차

    경력을 쌓아서 대기업에 가긴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사회 초년생이시니 멀리 보시고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첫 회사가 매우 중요 합니다

    20.08.07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26년차

    회사의 시설 설비(전기 설비, 난방 보일러 등)에 대한 유지 관리 업무로 설비의 점검/수리/교체 작업을 하는 업무로, 해당 업무 방향으로 경험을 쌓을건지를 판단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20.08.07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3년차

    3가지일을 다 하게되고 경력에 도움이 됩니다

    20.08.06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전기기사 / 5년차

    엔지니어 얘기하는건데요 거의 막노동이에요
    일하다가 기계에 끼어서 사망하는분들 많잖아요
    그런일하다가 돌아가시는거에요
    그리고 괜찮은 회사는 엔지니어한테 생산보조일 안시켜요 완전 뽕뽑는거에요

    20.08.06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화물·중장비기사 / 9년차

    개고생하는거져. 머ㅠ

    20.08.0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10년차

    아마도 생산팀 소속으로 일을 하실꺼 같습니다. 회사내 직원수가 많지 않은 상황일 가능성이 크고 생산 및 자재, 구매 등 여러 업무를 하게 될꺼라 예상됩니다. 제조업에서 기본이 되는 부서의 일을 하는 것이니 스스로 하기에 달렸지만 경력을 쌓기에는 괜찮아 보이지만 업무강도는 셀꺼 같습니다. 경력을 잘 쌓으시면 이직시에 메리트는 있을껏 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대기업이나 중견기업등 큰 회사로의 이직은 어려울껏으로 보이며 급여도 많지는 않을꺼라 생각 합니다. 받게 되실 급여가 본인 생각에 터무니 없다라고 느껴지신다면 포기가, 생각보다는 작지만 중소기업이라 작은거라 생각하시면 일을 해 보시는게 좋을꺼 같습니다. 신입보다 경력자가 직장 잡기는 수월하니까요.

    20.08.0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14년차

    경험이 쌓이면 돈도 쌓이죠

    20.08.0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기계엔지니어 / 3년차

    경험이중요합니다 일을할수있을때 해보는것울 추천합니다

    20.08.0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5년차

    말그대로 생산장비 유지나 건물시설유지보수입니다.

    20.08.0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5년차

    시설 보수를 담당 하겠죠? 경력도 쌓으면서 취업하시고 전공 공부도 하는게 좋을듯 싶네요

    20.08.0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3년차

    경험이 중요 할 듯 하네요.

    20.08.0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4년차

    일단 제조사같은데 제조사는 업력도 중요한데 님 직무가 보니까 공무쪽 같은데요. 공무는 실무만 하는게 아니라 그 작업장 설비점검서류, 도면, 전력 등등 완벽하게 해줘야 하고 공장장 및 생산부만큼 중요한 직무인데 공무 보는 사람한테 생산보조?? 장기적으로 이직하실때 쓸만한 업무보다 잡무가 더 많을 가능성이 클것같네요. 본인 하기 나름이지만 추천하지 않습니다.

    20.08.05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4년차

    업종이 어떤거냐에 따라서 케바케일거 같네요. 적어주신 글만 보면 단순한 종류의 여러가지 일을 하는거 같네요

    20.08.0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3년차

    일단경력과그에따른자격증소지가있으시면~해당업무팀으로가고~월급도괜찮겠죠~ㅎ
    그에비해~자격증소지가없으면 그밖외일을할듯해요
    공부도좋은데~여러경험들을해보고~경력쌓는게좋을듯합니다~~저도지금일자리구하고있는데~쉽지만은않네요ㅠㅠ

    20.08.05 작성 신고
  • 창립한지 얼마 안된 회사는 업무가 체계적이지 않으므로 잡다한일을 많이 하게 될것이며, 경력은 쌓이는데 오래다닐만한 회사인지도 중요할꺼같네요 금방 그만둘꺼같은 회사는 첨부터 안가는게 나을꺼같구요! 그리고 회사는 창립한지 얼마 안된회사는 돈문제도 중요하죠 월급이 안 밀리는지 수당들은 다 챙겨주는지 무엇보다 복지를 생각하고 가면 큰일납니다. 저도 첨 회사를 신생회사를 가서 업무를 했는데 인사팀일 다른부서의 일 등 잡다한일들만했어요! 막상 제대로 배운것도 없고 왜냐하면 경력자가 많지않아서 신입만 많았거든요 경력자들은 신생회사에 오려고 하지 않으니깐요 저는 솔직히 신생회사 말고 10년이상된 회사를 여러군데 다시 한번 써보는개 나을꺼같네요!

    20.08.0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9년차

    네.. 보통 그런 기업은 자기 업무 외 기타 업무도 많이 주어지게 될 겁니다. 당분간 업무를 배운다고 생각하시고 좋은 일자리 나오면 다시 이직하시는것도 나쁘진 않을 것 같네요.

    20.08.0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환경기사 / 8년차

    담당 업무가 많다면 근무 환경이 좋지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다시 한번 잘 알아보고 결정하세요.
    주먹구구식에 업무강도 높은 회사들의 공동적인 특징이 있는데, 말씀하신 현재 회사도 비슷하게 보이긴 합니다.

    20.08.05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포장·가공담당자 / 22년차

    일단 시설 및 설비 보수기 주업무일듯 합니다 신설회사이기에 기존 회사보다 개인적 성장은 빠르겠으나 업무의 과중함을 감당해낼 각오가 필요할듯합니다

    20.08.03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