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현실적인 조언이 필요해요

조회9,416
20.10.29 수정
안녕하세요 이제 25살 대학교 3학년 학생입니다
요즘 취업걱정이 많은데요
전 IT기업이나 공기업 전산직을 생각중인데 알아보니 공기업 전산직은 사람을 많이 안뽑더라고요... 하지만 일단 공기업 전산직을 생각하고 있긴한데... 그래도 만약 제가 일반 IT회사에 입사할려고하면 프로그래밍 실력이 어느정도 되야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전 java를 배우고 있긴하지만... 이제 메소드 조금 다루는 정도인데... 나이도 있고 너무 늦은건 아닌지... 내년이면 취업해야하고 현실적인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56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8년차

    안녕하세요 경력 7년차 웹 개발자로 근무하고 중견기업에 다니고 있는 사람으로써 조금만 이야기 해볼께요
    규모가 있는 회사 또는 작은 중소기업 어딜 가든 같은 언어를 쓰더라도 각 회사마다 쓰는 방법도 다르고 요하는 기술도 다르고 개발 기준도 달라요. 그래서 어디 회사든 입사를 하면 회사 기준에 맞춰 따로 또 공부를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꺼에요
    근데 중요한데 자바를 배우고 안배우고 차이가 엄청 커요. 딱 진짜 아는만큼 보이기 떄문이에요
    그리고 저도 잘은 모르지만 요즘은 자바 이 외에 다른 언어도 같이 공부 하는걸 추천해요 자바 개발자가 워낙 많다보니까 자바만으로 승부 보기에는 조금 힘들지 않을까 생각 드네요

    20.10.2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R&D·연구원 / 22년차

    나이는 많은거 같지 않습니다.
    자바도 분야가 있고요!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나 스프링 프레임 워크, 오라클, mariadb등을 공부하시는게 좋을 듯합니다.
    그리고 특정 공공기업에서는 경력자를 채용하니 중소기업에서 경력을 쌓으시고 그다음 공공기업으로 입사하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경력이 생기시면 특수 대학원 진학도 생각해 보시고요!

    20.11.16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채널관리자 / 6년차

    신입 때는 게시판 CRUD 짤 수 있으면 OK..
    못하면 정부 지원으로 하는 본인이 받고 싶은 무료 교육 받으세요..
    근데 어차피 정부 지원 교육은 기초 배우는 거고..
    실무 가면 거기 환경에 맞게 다시 배웁니다..
    실무 가도 어차피 신입인데...신입한테 그리 큰 기대 안하구요..
    무리한 업무 주지도 않습니다..
    못 하면 잘 모르겠다고 알려달라고 말해도 됩니다..
    신입은 어차피 갈켜주고 키워줄라고 뽑는 거니까..
    모르는거 붙잡고 멍 하니 있으면 더 싫어합니다요
    신입 땐 실무 가도 게시판 할 껍니다.
    나이..그냥 숫자입니다
    30대에 시작 한 분들도 엄청 많습니다..25살이면 늦은 거 아니에요
    신입 때 실무에 필요한 건 끈기와 노력 and 사교성 입니다..
    힘내세요

    20.11.16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6년차

    면접을 최대한 많이 보낸게 좋아요.

    막상 취업되면 실력은 금방 업되기떄문에요 .

    20.11.16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6년차

    중요한건 개인의 능력이 얼마나 되는지가 중요합니다.
    현재 기준으로 보자면 공기업을 가시는건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공기업 채용 기준을 우선 보고 개인 평가를 해보시고 부족한 부분을 학습하는게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공기업에서는 IT인력을 그렇게 많이 뽑지 않습니다.
    그리고 공기업마다 다르긴 하나 일부 공기업에선 채용이 끝이 아니라
    채용 이후에도 매년 내부에서 실시하는 평가 시험이 있습니다.
    평가 시험 자질에 따라서 진급이 되거나 만년 대리가 되거나... 등등..

    보통 IT기업에서는 개인의 프로그래밍 능력을 기준으로 채용을 합니다.
    기업에서 요청하는 프로젝트 사항을 개인이 할 수 있느냐 없느냐로 판단합니다.
    java언어로는 백엔드 프로그래밍 기반이나 java기반 Spring Framework 기준 웹개발을 진행 합니다.
    개발 언어에 대해 심층적인 개발 학습과 프로그래밍 설계를 학습을 진행 하시길 바랍니다.

    현재 학습을 해야할 항목을 나열하자면,
    JAVA 기초 언어 활용 마스터,
    JAVA 기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쿼리 이해 및 기본 쿼리 작성,
    Spring Framework 환경 구축 및 기본 웹 개발 CRUD 응용
    프로그래밍 설계 이해(객체 지향화, 모듈화, 마이크로 아키텍쳐에 대한 이해)
    java 알고리즘,
    JAVA Design Patten 이해(조금 이해한다면 도움이 됩니다)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으나 한번 힘들게 익혀두면 프로젝트에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20.11.1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4년차

    사람을 많이 뽑진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예전에는 알고리즘 및 프로젝트 위주로 평가하곤 하였는데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회사를 들어가는 방법이 실력 위주가 아닌 곳도 있을 것이라 믿으니 어떤 전략으로 가셔야할지 고민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20대 중반이면 이제 취업문에 나설 시기라고 생각되니 힘내시길 바래요.

    20.11.1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기획 / 23년차

    자바로 웹프로그래머를 하실려면 먼저 spring을 먼저 공부하시고 정부 프레임워크를 보세요.
    java se 1.8로 먼저 시작하시고 11이상으로 올라가면 됩니다.
    기본적인 git 서버 사용과 이슈트래커 사용이 가능해야 합니다.
    시큐어코딩, junit사용도 학습하게 되니까 볼책이 10권정도 되겠네요.
    책내용보다 분량에 압박을 느끼겠지만 해야되는 일이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위에 내용을 숙지하려면 1년정도 시간이 필요하겠네요.
    그럼 화이팅.

    20.11.1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앱개발자 / 18년차

    어차피, 대학 졸업하고 오는 신입 인력에게는
    인성 말고 다른거는 기대 안합니다.
    실력은 일하면서 꾸준히 배워서 향상 시키면 됩니다.

    20.11.13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머신러닝엔지니어 / 14년차

    실력은 취업후 올리면 됩니다.
    웹프로그래머만큼 배우기쉽고 연봉일리기 쉬운 직업도 없습니다.
    10년넘게 꾸준히 하시면 두세개이상 마스터가능하며
    연봉 1억도 어렵지않습니다.

    20.11.13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3년차

    전 대학에서 개발언어 제대로 못배웠고 졸업 할 때까지도 확신이 없었는데 학원다니며 배우면서 현재 3년째 일하고 있어요~~ 하고싶다는 열정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20.11.12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2년차

    저의 경우 대학에서 java와 c를 배웠지만 그게 뭔지도 모르는 상태였습니다. 27살에 it 학원 가서 배운걸로 11년정도 밥벌이를 하고 있습니다. 절대 늦은것 아닙니다. 무료 강좌나 학원을 다녀서 일단 한번 java jsp db오라클(my,ms등 일단 하나만)에 대해서 공부하세요. 1년정도면 꽤 많이 남았네요.

    20.11.12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앱개발자 / 8년차

    프로그래밍 실력은 아주 간단한 게시판(목록 조회, 글쓰기, 글수정, 글삭제) 에 대해 할 수 있다면, 신입으로서 OK 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어떻게 하는 것인지 감이 안잡힌다면, 일반 IT 회사에 들어갈려면 졸업 전이나 졸업 후 나라에서 지원하는 IT 교육센터에 들어가서 6개월 과정을 하면 어느정도 감이 잡힐 겁니다. 그나마 실무에 가깝게 가르쳐주는 곳이 IT교육센터 이기때문입니다.

    20.11.1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0년차

    전산직은 개발과 거리가 멉니다. 그리고 프로그래머가 되려면 현실적인 질문을 스스로 해봐야 합니다. 단순히 프로그래머가 되고 싶다 보다는 뭘 만들고 싶은지 스스로 답을 할수 있어야 합니다.

    20.11.11 작성 신고
  • 25살이면 아직 한참 젏은 나이 입니다. 지금 부터라도 자바,스프링 가고자하는 해당it분야의 스펙을 참고해서 지식을 습득 하셔서 힘내시길 바랍니다 it업계쪽으로 넘어오는 신입 나이가 34살까지 봤습니다. 힘내세요!!!

    20.11.1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앱개발자 / 18년차

    신입이라 하시면...
    우선 학교 활동 중에 개발과 관련된 활동을 했다면 그것이 가산이 될 수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신입에게 큰 기술을 물어 보진 않습니다. 학창시절 개발과 관련되어 무엇을 경험했고, 그것을 잘 설명 할 수 있다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 밖의 개발과 관련해서 혼자서 무엇가를 만들어 보셨다면, 그것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하고, 그것을 통해 자신이 개발에 어느정도 지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면접관들이 아시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20.11.1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3년차

    공기업 전산직은 잘몰라도 저도 3학년때 입사한 회사 13년째 다니고 있는데요 사실 신입뽑을때 인성보고 오래다닐 사람 칮지 실력 안봅니다 플젝 한두번 뛰면 고생은 해도 쭉 실력오르고요 그래서 걱정하지말고 해보시길 바래요

    20.11.0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7년차

    제 생각에는 공기업에 관한 공부가 더 필요할 것 같고 프로그래밍 실력은 신입인지라 크게 문제되지는 않을 것 같지만 그래도 꾸준한 공부가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20.11.0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6년차

    우선 공기업의 전산직은 운영직 이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실력이 없어도 됩니다.
    반면 일반 중소기업은 반대로 공기업이 안하는 프로그래밍 작업을 위탁 하고 있어요.

    그래서 중소기업에 입사하시면 프로그래밍 실력이 좋아야 겠지요.

    어느정도의 실력이 필요할까요? 답은 게시판 프로그래밍을 완벽하게 소화 한다면, 100점입니다.

    1. paging 처리,
    2. 표준 query ( 입력, 수정, 삭제, 조회)
    3. 첨부 파일 처리

    이정도면 될거 같아요.

    20.11.08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2년차

    공기업과 It기업 둘사이에 기본적으로 준비사항이 다를거 같아요. 알고있듯이 공기업은 전공 보다는 다른 준비사항이 많구오 !! 아이티기업으로 가시려면 전공의 탄탄함을 갖추시고 랩실같은곳의 활동이나 아이티프로젠트 경험을 많이 해보시는것도 좋을거같네요

    20.11.07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6년차

    혼자서 하는거랑 직접 입사해서 실무하는거랑 차이가 있을꺼예요..
    일단 부딪혀 보시는건 권합니다.
    일단 실무하시면서 또 실력을 쌓는것을 권합니다.

    20.11.07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앱개발자 / 16년차

    자바던 c# 이던 어느것 하나 제데로 할 수 있다면 그것을 사용하여 개발하는 곳이 많기에 직장을 구하는데 어렵지 않습니다. 얼마나 본인이 열심과 열정을 가지고 그 일을 하느냐가 중요하지요. 먼저는 내가 먹고살기 위해서보단 내가 조금 더 좋아하고 잘할수 있는 분야에 집중하면 더 좋을것 같네요.~
    정말 늦었다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때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20.11.06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8년차

    1. 아직 늦지않았습니다.
    2. 강좌랑 서적 위주로 열심히 공부하세요.
    3. 덮어놓고 취직이 목표라면 어디든 가능은 합니다. 좋은 곳 가는건 실력 올리고 가도 되는데 왠만하면 좋은데서 시작해야 몸도 마음도 편하겠죠?
    4. 포트폴리오 만들어두면 상당히 유리합니다.

    20.11.06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기획 / 14년차

    중소기업 들어가서 일단 공공기관 프로젝트를 뛰어 보시는게 나을듯 합니다.
    공부는 개념정도 이해 하시면 될듯 하고요. 필드에서 직접 하시는게 가장 실력을 늘릴수 있습니다. 능력 인정 받으시면 공기업 및 대기업에서 러브콜이 있을수 있습니다. 본인 이 마음이 가는 language 선택후 관련 공공 프로젝트 검색해보세요.. 멋진 개발자가 되길 비랍니다

    20.11.06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1년차

    회사별로 요구하는 레벨이 있습니다. 그에 따른 코딩 테스트도 존재하는 회사 역시 많은 편이구요.
    목표로 하는 회사를 우선 특정한 뒤 그 회사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맞춰나가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25 살 이시면 전혀 늦지 않은 나이라고 생각합니다.
    힘내십쇼

    20.11.05 작성 신고
  • 유투브, 인프런에서 스프링 관련 강의 들으면서 간단한 프로젝트 만들어 보는게 좋습니다.
    프로젝트 만들면서 중간중간 github에 프로젝트 저장소 만들어서 commit 올리면서 프로젝트 완성해보세요
    아무것도 없는 것보다 github에 자기가 직접 만든 프로젝트 있으면 도움이 됩니다.

    20.11.0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9년차

    현실적인 관점에서
    - 조금 다루는 정도를 면접때나 합격후 생활시 들키면 안됩니다.
    - java를 배우고 있지만, java에 대한 배움의 높낮이가 중요 할듯 합니다.
    - 앞으로 본인이 하고 싶은 분야, 업무를 확실한 계획이 있어야 합니다.

    20.11.0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3년차

    프로그래밍은 실무에서 배우는게 90%입니다. 기본 연산자, 제어문만 알고 가서 배운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모든 프로젝트마다 혹은 회사마다 사용하는 프레임워크가 다릅니다. 시중에 판매하는 서드파티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고 해도 거의 회사 업무에 맞도록 커스트마이징을 합니다. 결국은 프레임워크를 잘 사용하느냐에 대한 것이지요. 네이티브 언어는 그렇습니다. 하지만 별개로 데이터베이스 쿼리 공부를 많이 하세요. 데이터 베이스는 거의 동일합니다. 프로시져와 오라클의 패키지 그리고 QXML을 이용하는 WCF에 대한 개념만 공부하세요. 업무 시스템의 거의 모든 비즈니스 로직은 쿼리(프로시져, 패키지)로 처리합니다. 예로 연정산 ACCOUNT 프로그램의 경우 쿼리가 5000라인이 넘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쿼리 공부 많이 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20.11.04 작성 신고
  • 현실은 조금 할줄알아가 안됩니다
    자격증 위주라 일단은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세요
    그럼 취업성공률이 높아요

    20.11.0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0년차

    늦었다 생각할 때가 빠를 때 입니다.
    전산직도 굉장히 많은 분야가 존재하므로, 각설하고,
    학교에서 배우는 폭넓은 학습내용을 우선 흡수하세요.
    나중에 후회할 일 생깁니다.
    물론 현장에서 쓰는 기술 + 자주하게되는 일과는 거리가 먼 편이지만,
    기초가 왜 중요한지 나중에 분명히 느낄테니까요.
    그리고 나서 비로소 자신이 하고싶은 전산직종의 모집공고에서
    자격요건과 시험 및 인적성검사, 면접 준비를 하시면 됩니다.

    20.11.0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29년차

    신입은 어차피 다 가르쳐야 하기때문에 배우려는 자세와 얼마나 오래 머무를 수 있을지가 중요합니다. 기초적인 부분을 가르쳐놓으면 얼마안되어 이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부족하지만, 배우겠다는 자세로 열심히 근무하겠다는 열의를 잘 어필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3년 정도는 중소기업에서 실력을 쌓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겁니다.

    20.11.0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4년차

    IT도 분야가 엄청 많습니다.

    솔루션 DBA UI/UX 웹 취약점 분석 등등

    공기업 전산직은 IT헬프데스크 개념으로 뽑고 실질적 필요에 따른 개발은 외주를 통해 수주합니다. 공기업 생각하시면 NCS나 정보처리기사 취득정도 준비하시는게 좋고 정말 IT로 가고싶다 하시면 걱정만하지마시고 회사가 진행하는 사업이 뭔지 알고 면접 잘 준비하시는게 낫습니다. 회사성격마다 다르지만 신입한텐 큰 기대안합니다 공부시켜서 써먹습니다 걱정마세요

    20.11.04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인바운드상담원 / 18년차

    40세가 넘기 전까지 개발업무에 나이로 제한받는 경우는 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전산전공이 아니라면 계속 전문개발자로 남기는 쉽지 않습니다.
    순수 시스템 개발이 아닌 이상, 개발에 있어 현업과의 협업경험이 중요하므로 개발분야 외에 조금 더 폭넓은 지식을 갖추신 다면 여러가지로 유리합니다.
    여러 레벨의 IT업체가 있어서 입사 자체는 크게 어렵지 않을 수 있지만, 가급적 첫 직장은 향후 커리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곳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자바는 좋은 선택지이며, 제이쿼리나 뷰와 같은 스크립트를 익숙하게 다루신다면 더욱 좋습니다.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20.11.04 작성 신고
  • 25살이면 아직 늦지는 않았습니다. 25년 살아보시면서 느끼는게 있을거에요. 어떤 일에 시작하는 나이만큼 그 분야의 재능과 자신이 오래 지속가능한 것이 가능한지 스스로에게 물어보세요.

    30살 넘어서도 학원 통해서 IT기업 문 두드리는 사람 정말 많습니다. 대학생이 실력이 있으면 얼마나 있겠어요? 처음부터 부담은 적게, 포부를 크게 잡고 나아가시길 바랍니다.

    20.11.03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3년차

    25살이 많다니요... 모든걸 버리고 새로 시작해도 늦지 않을 나이인걸요...... 사실 실무로 들어가보시면 아시겠지만 신입한테 그닥 많은걸 바라지 않습니다. 다 부딪치시면 이겨내실 수 있으세요 오히여 공무원 준비한다고 노량진에서 시간 보내며 사회생활을 회피하시게 될까봐 걱정이네요 제 주위에 그런 친구들이 많아서요 힘내세요 일단 부딪쳐 보세요!

    20.11.02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기획 / 13년차

    프로그래밍 실력이 어느정도 되어야 하는지에 포커스를 두어서 지원할 회사를 선택하지 마시고
    지원하고 싶은 회사를 먼저 선택하고 거기에서 필요한 능력치를 맞추어 가려고 하는게 좋다고 생각되네요.
    어떻게든 원하는 회사를 가서 좋은 선임을 만나면 본인의 의지만 있다면 실력 향상은 금방 금방 오르실꺼에요
    4학년 2학기 전까지 스프링부트 기반으로 프론트와 백앤드 한번 만들어보는거 추천합니다.
    요즘 초급 개발자 받으면 그냥 복붙 달인 느낌... 자신감을 가지세요.

    20.11.02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8년차

    저는 20년째 공기업, 대기업 프로젝트 AA업무나 공통 업무, 또는 pl 이나 일반 개발이나..
    뭐 다하고 있네요.. 언어는 자바 입니다.
    일단 자바라는 언어가 좋기는 하지만 파이선이나 node, vue.js 이쪽으로 흐름이 강하게 변하고 있습니다.


    질문 순서대로 답변해 볼께요.
    나이는 많지 않으니 걱정 마시고
    공기업이나 대기업이나 it파트의 실무적인 개발은 외주인력으로 채우고 있습니다. 일반직으로 지원하세요. 일반직으로 업무를 수행하다 보면 자연스레 개발파트와 만납니다. 개발에 대한 이해도가 있다면 업무에 도움이 되겠지요..

    프로그램 실력은 어느정도가 되어야 하는가는 잘하면 됩니다.. 뭐든.. 그래야 인정 받습니다.
    다만 신입이거나 개발 실무를 많이 해보지 않았다는 사실을 주변에서 이해는 하고 있습니다.
    잘 모르겠다면 백문이불어일타라고 하지요.. 자바를 배운다면 웹을 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하나의 책을 완전히 소화 하세요.
    그리고 두권째는 다른 부분을 이해 할 수 있는 책을 고르세요.
    개발은 흐름입니다. 하나하나 순서를 나열하고 이해하는 습관이 중요 합니다.
    그리고 개발실력은 경험에서 나오는게 아닌이상 알고리즘 입니다... 요즘은 패턴이니 뭐니 단순화 되어 가고 있지만.. 알고리즘을 스스로 설계가능 하다면 능력을 실천하게 쉬워 집니다.( 일을 쉽게, 수월하게 진행하는것이 실력이기도 합니다.)

    자바보다는 자바스크립트를 추천합니다. 요즘은 서버사이드(서버개발), 프론트엔드개발을 구분하여 업무를 진행하고 있으니
    vue, reat 뭐 이런걸 하려면 node가 기반이 되어 하니.. 다루는 언어를 변경해 보는것도 방법 이겠습니다.

    질문자님이 어떤 사람인지 어떤 고민을 하는지 잘 모르지만
    질문만으로 판단 하여 답변 드리자면 막연하게 취업을 목표로 하기 보다는 어떤개발을 하고 싶은지 고민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개발직군은 다양 합니다. 가급적스스로를 아시고 목표를 세우시는 것이 나중에 10년 20년뒤에 위치할 모습입니다

    20.11.0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기획 / 24년차

    A. 공단이나 공사를 추천하며
    1.자격증 : 정보처리기사1급 필수이고,
    2.프로그래밍은 전자정부프레임웍에서
    게시판 정도 공부삼아 완성시킬 수준이면
    입사해서 배워갈 수 있습니다.
    3.모두 입사 시험이 있죠!
    B. 그외 IT 회사는 프로그램 스킬을 많이보는 경향이 있습니다.(회사에 따라 포트폴리오 요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20.11.0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년차

    안녕하세요 학우님, 저도 그시점에 같은 고민을 한 적이 있습니다. 내 프로그래밍 실력은 너무 하찮은데 이렇게 공부해서 졸업하고 나서 바로 취직을 할 수 있을까? 성적도 낮고, 그렇다고 해서 실무를 엄청 잘하는것도 아닌데.. 나란 놈을 뽑아줄 회사가 잇을까? 자격증도 없고 아무것도 없는데, 그랫던 시절이 있습니다.
    제 이야기를 잠깐해보자면, 대학교 4년동안 놀고, 필수 이수 학점도 못채워서 추가학기까지 등록해서 5학년까지 대학교를 다녔습니다.. 현재도 졸업 안하고 수료인 상태이긴 합니다.
    저는 아직도 자격증도 운전면허증이 하나이고, 그 외의 대외활동 조차 하나도 없습니다. 하지만, 취업을 위해서 국비지원 수업을 들었구요. 학원에서 미니멀리즘하게 수강한 것들을 토대로 작품 하나를 만들어(포트폴리오 대용) 20년 6월부터 9월까지 600군데가 넘는 회사들에 지원을 했고 200번 넘게 면접을 갔습니다.
    그 중 많은 회사들의 환경? 복지? 근무형태를 경험하고 현재는 저도 만족하고 회사도 만족하는 곳에 취업해서 열심히 일하고 있습니다. 아직 졸업은 못하고 수료인 상태지만요 ㅋㅋ
    다른 선배님들에 비해 하찮은 답변이겠지만.. 제가 드릴수 있는 답변은.. 무엇보다도 대부분의 스타트업(5인미만기업)을 제외하고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회사들은 다른 사람과 함께 일햇다는 팀웤 프로젝트의 증거를 많이 요청하고, 혹은 독보적으로 프로그래밍을 잘하는 사람아니면 키워서 쓰겠다는 마인드가 잘 없어요. 다녀본 결과로요.. 국비지원 과정을 통해서 다른 사람이랑 팀웤 프로젝트 몇개와 개인 프로젝트를 포트폴리오로 만들어서 제출하긴 했지만, 그래도 많은 곳에서 탈락했죠.
    본인이 아무것도 없고 그냥 4년제 졸업장 하나만 있다면 국비지원 교육과정 추천드리구여, 중소규모 기업부터 취업해보시는게 어떤가 합니다. 웹개발자쪽은 서울 기준으로 대부분 2400~2800정도 제시하더라구여.. 취업을 위해서 발품을 많이 팔 수록 본인이 일하기 편한 곳을 찾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처음부터 높은 허들 넘으려고 x

    20.11.0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6년차

    일반적인 IT회사라는 기준이 애매한데요.
    보통 신입이나 경력이나 새로운 곳에서 가장 바라는 역량은 이해력인 것 같습니다.
    경력은 회사마다 데이터 모델, 프로세스, 개발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고,
    신입은 알려줬을 때 잘 캐치하는게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이해하기 위한 기반을 잘 닦아놔야할 것 같습니다.

    보통 신입한테 회원가입, 로그인, 게시판을 구현하고 소스 리뷰를 많이 시키더군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데이터 티키타카를 이해하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좋은 것 같습니다.

    20.11.0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9년차

    java를 배움면서 IT쪽을 생각하고 계신다니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메소드 조금 다루는 정도에서 객체도 생성해 보시고 클래스도 생성해 보시면서 이곳, 저곳 많이 알아 보세요. IT쪽은 경력이 얼마나 되느냐도 중요하니까 경력, 탄탄히 쌓으 실 생각하시구요... 처음에 들어가면 팀장이나 윗사람이 코딩하는거 바로 시키지 않으니까, 우선 탄탄한 곳, 이곳 저곳 알아보세요...내년일까지 미리 준비하는 것도 좋게보이네요... 건승을 빕니다. ^^*

    20.10.3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6년차

    java를 배웠다면 학원을 등록해서 6개월 ~ 1년 과정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인정 받고 싶으시면 학원에서 프로젝트까지 만들어서 수료하시고 입사하시면 충분히 원하는 회사에 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드네요.

    또 다른 방법은 java와 spring만 공부하세요. 프로그래머로 입문하실거면 중견 SI쪽 취업도 괜찮아 보입니다. 근무하실려면 대기업이 좋긴하지만요. 전문성은 많이 떨어집니다. 그래도 대기업이 좋겠죠..ㅎ

    20.10.3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앱개발자 / 5년차

    제가 대학교 4학년 때 우연히 교수님 추천으로 학기중에 5.5개월 짜리 국비지원 교육을 받았습니다.
    지금도 국비지원 교육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교수님과 친하시다면 학기중에 다니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교육과정에 백엔드 + 프론트 + DB 까지 있으니 그정도면 신입으로 취직하기는 어렵지 않으실 겁니다.
    물론 이력서가 좋아하 하겠지만요
    취업걱정 많이 하실텐데 기본은 되어있어야 다른 곳도 바라볼수 있습니다.
    화이팅하세요!

    20.10.3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4년차

    이런 말씀드려 죄송하지만, 신입인 경우 자격증이 없으면 취업이 힘들거 같구요..(공기업은 경력직이 우선입니다..)
    자격증 없이 취업이 되시더라도 처음부터 배운다는 생각으로 3년 정도는 경력을 쌓으시는게 좋습니다..
    그 이후 공기업이나 일반 IT회사 이직을 하기에 좋습니다..

    20.10.3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기술·전문강사 / 7년차

    늦었다고 생각될 때가 가장 빠른 때 입니다... 추진하십시요...

    20.10.2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5년차

    기업의 전산직은 프로그램을 안합니다.
    그냥 업체불러서만들지 일반 사무직이랑 같습니다
    단지 지식이더 그쪽으로있는거지
    들어가기만 하면 땡입니다. 일이 쉽다는건 아니지만
    맨날보고서 쓰고 그러겠죠 ;;;;

    20.10.2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9년차

    일단 입사가 먼저 입니다.
    공부 열심히 6개월 하는것보다 입사해서 프로젝트 두달 하는게 빠름.. 처음 한 1~2년만 야근 포함 해서 쭈욱 하다보면 개발에 대한 불안감은 없어지고. 그때쯤 되면 갈수 있는곳도 많아 집니다.당연 연봉도 상승 하고요
    너무 작은 소규모 회사 보다는 10년 이상된 중견 기업으로 초점을 맞춰 보는것 추천 드립니다

    20.10.29 작성 신고
  • 중소기업은 자격증보다 바로투입될수있는 실력을보더라고요 코딩테스트 공부랑 포트폴리오를 준비하세요

    20.10.2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앱개발자 / 19년차

    취업이 목적이시라면 java만 보지마시고 js와 db 같이 잘 숙지하시면 됩니다.

    jsp 1.0 + js + mysql = 게시판
    java + jstl + jquery + mysql = 게시판
    spring + jstl + ajax + mysql = 게시판
    spring boot + vue or react + mysql = 게시판


    위의 예제 4개를 하나씩 해보면 웬만한 업무는 바로 투입될 수 있을겁니다.
    회사나 프로젝트 별 비지니스 로직은 그때그때 공부하고 숙지하는 것만 기억하고 있으면 됩니다.

    20.10.29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4년차

    트렌드를 알아보시고 하고싶은 분야의 프로젝트를 하세요. 완벽하지 않아도 됩니다. 저품질을 이틀마감으로 뽑고 장기프로젝트도 따로 해보세요. 산출물 문서를 알아보시고 협업관련 툴도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실제로 작성해보세요. 현업에서 하는 것과 비슷하게 몇번 진행해보시면 내가 필요한게 뭔지 알게됩니다. 업계가 업계다보니 하는만큼 보이고 하는만큼 해결법 접근방법이 다양해집니다. 개인적으로 자격증은 나 이정도로 열심히 했어요 수준이지 실무스킬이 안따라오면 근무하시면서 힘드실껍니다. 완벽하지 않아도 같이 일할 수 있는 사람, 말이 통하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화이팅하세요.

    20.10.2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앱개발자 / 17년차

    처음부터 좋은 회사에 들어가시려면 졸업후 단기 학원 추천드립니다. 요즘 신입분들 JAVA는 어느 정도 잘하는 상태에서 입사하더라고요. JAVA 정도는 장착해야.. 시야가 넓어집니다.
    늦은 나이라고 생각들지 않습니다. 저도 27살 부터 시작했습니다. 열심히 하시다 보면.. 좋은 회사에 입사제안도 받기도 합니다. ^^

    20.10.2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8년차

    웹 프로그램이라면 게시판만 만들수 있으면 신입으로 들어가도 될거 같은데요

    나머지는 들어가서 익히시면 될것 같네요

    20.10.2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10년차

    25살이 많은 건가요?^^ 지금부터라도 열씸히 하시면 기초는 배우실 거 같아요
    틈틈히 온라인 교육 이수도 하시고 자격증 필수로 따셔야 해요
    솔직히 일반IT 기업은 많습니다 하지만 거기서 못 버티시는 분들이 더 많은 거 같아요
    취업공고 나오는 자격사항 보시면 많이 원하는 기술이라든지 자격증이 있을 거에요
    자격증 무조건 따세요~

    20.10.2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2년차

    음.. 고졸에 그냥 국비지원 학원 나와서 개발자로 일하고 있는사람고 있는걸요(접니다) 웹 개발은 진입장벽 낮아서 가능할거에요

    20.10.2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5년차

    회사에서 작성자분을 판단할만한게 자격증밖에 없습니다. 필요없는 자격증이라도 많이 따 놓으세요. 그리고 토익도 높으면 좋습니다

    20.10.2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시설관리자 / 4년차

    제일 중요한 사항을 안적어주셨네요.."자격증" 이 있냐라는거..그게 없으면 자격증 부터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어떤 직종이던 실력 이라고 하는 사항은 "실무경력" 으로 인정받습니다..하지만 현재 학생이고 경력이 없다고 하면
    적어도 "자격증" 이 있어 최소한의 기본 역량은 갖췄다 라는것을 어필해야 구직이 쉽습니다

    어자피 실무니 실력이니 혼자서 해도 학원에서 배워도 한계가 있어요...실력을 배울려면 회사에서 일하며 배워야 하고
    회사에 들어갈려면 경력 그게 없으면 최소한 업무에 대한 자격증은 있어야 합니다...

    java 라면 최소 OCAJP 는 취득하시길 바랍니다

    20.10.2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기술·전문강사 / 7년차

    웹개발자 하신다고 하면 기본적으로 자바, DB, 각종 화면당 언어, 서블릿&JSP, 스프링까지.. 그리고 뭘 시작해도 넘 젊은 나이입니다.어차피 여긴 실력으로 먹고 삽니다. 내공을 키우심이 좋을듯 합니다.

    20.10.29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