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고분자공학 2차전지

조회1,205
20.12.26 작성
고분자공학 학부생인데 학사졸업 후 2차전지 관련 회사에서 일하고싶은데 연관이 있을까요
어떤 준비를 해야할까요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2
  • 프로필 이미지
    자재관리자 / 8년차 / 91학번

    연구 이외에 1) 세일즈, 2)생산 공정 분야(화학, 3)전자, 4)전기, 5)기계구조), 6)저장, 7)재료 분야에서 목표를 정하면 더 쉬울텐데요. 1번은 경영(산업/금융/마케팅), 2번은 산업공학, 3)전자, 4)전기, 5)기계, 6)전기 그리드, 7)소자 재료분야 중 하나를 부전공했다면 구직 시간이 더 줄어들겠지만. 일단 취직이 왕도입니다. 작은 회사라도 입사 이후에 온라인이나 저널 논문을 꾸준히 읽고, 외국어 능력을 더하면 좋을텐데요. 회사의 목표에 맞춰서 기술 능력 경로를 준비하면 쉬운데, 취직없이 일하고 싶다면, 1번/2번 또는 대학원 진학이 답인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교수님과 상담하시는게 최선입니다. 유투브와 구글 검색해보니, 리튬이온 전지 수명이 7년, 고분자 배터리 수명은 20년이지만, 파워가 낮아서 상용화에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미래 에너지로 평가되고 있지만 5볼트 미만 3볼트 수준이라고 합니다. 전자공학의 반도체(물리전자, 나노전자분야) + 기계공학의 나노 소자는 각 전공분야에서도 어려운 분야입니다. 관련된 회사들도 몇 개 안되는 것 같습니다. 석/박사 진학하신다면, 플라스틱 반도체나 바이오메스 활용한 발전소는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데 지도 교수님과 상담해 보시거나, 저널, 논문을 참고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요약하면, 부전공으로 전기/전자/광전자/핵융합/물리전자/나노전자/산업공학/경영을 또는 다른 방안을 찾아보세요. 석사/박사 이후 취업은 좀 더 용이하겠지만, 적성과 다양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확인해 보세요. 취업이 목표라면 고분자공학은 2차 전지이외에도 더 많은 분야에서 전망과 인턴쉽을 활용해 보세요.

    20.12.27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인사담당자 / 10년차

    현업 / 기술 파트에서 일하신다면 관련 지식이 있다는 가정하에 가능한데, 연관성은 전공으로 판단하는게 아니라 전공안에서 귀하가 어떤 과목을 수강하고 얼마나 잘알고 잘하는지로 판단합니다. 관련된 과목과 잡지에 대해 공부해보시고, 귀하가 얼마나 잘 설명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20.12.27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