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안전과 관련하여 취업준비를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안잡힙니다...

조회564
21.01.03 수정
제철산업계열 학과를 졸업(예정)하면서
1.산업안전 산업기사
2.금속재료 산업기사
3.제선 기능사
4.침투비파괴 기능사
5.정보처리 기능사
외 잡다한 컴퓨터 자격증9개 를 따놨으나 안전쪽으로 취업하고 싶지만 면접 관련해서 정보도 부족하고 취업할수 있는 기업도 찾기가 힘드네요...저만 못찾는게 맞겠지만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안잡힙니다...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8
  • 프로필 이미지
    시설관리자 / 16년차

    일단.....산업안전관리사는...좀 비추천이에요. 지금 법도 많이 바뀌고 위탁업체가 난립하는 가운데 산업안전은 본청(정직원)이 걸도록 바뀌었을겁니다. 워낙 사건사고 많고 인명피해도 생기고 하는데 책임을 본청에서는 지지않고 위탁관리하던 업체에만 전가시키니까 법에서 니들 본청이 걸어라 하고 바뀐거에요. 그만큼 이제는 예전처럼 어설프게 자격만 있다고 할수있는 일이 아닙니다. 정신 바짝차리고 법대로 제대로된 일을 해야해요.

    안전쪽이면 전기안전관리자로 일하시는게 진짜 최곱니다. 전문성도 있으면서 편하고...좋아요. 무슨일을 하시던 바닥부터 훑어서 올라가야 안정적으로 일할수 있습니다.

    시설안전쪽이면 전기, 소방, 보일러, 가스, 공조냉동 정도가 기본 스팩 되겠습니다. 물론 저도 다 있습니다. 주력으로 전기일을 하고있고 결원 생길때마다 제가 대신 걸어주기도 하구요.

    지금 기계 설비쪽 법이 또 바뀌어서 이제 기계도 전기처럼 매인선임자 필요하다니까 그 쪽으로도 알아보세요. 기계도 고급기술자는 대우받아요.

    21.01.0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전기기사 / 1년차

    안전도 크게 건설과 제조로 나뉘어집니다. 건설안전쪽 취업을 희망하시면 산업안전기사, 산업위생관리기사를 추천드리고요, 제조업안전을 희망하시면 산업안전기사, 대기환경기사를 추천드립니다. 더불어 캐드도 조금 할줄 아시면 도움 많이 되실거에요..... 현직자로서 얘기드리면 워라벨을 생각하신다면 제조업을 추천드리고요, 페이를 생각하신다면 건설업을 추천드립니다. 대기업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의 중소,중견의 건설업은 젊은 나이에 정말 많은것을 포기해야합니다...... 현실적으로 건설업은 공기단축이 최고의 목표입니다. 이러한 탓에 공사와 안전은 항상 충돌이 생길수 밖에 없는 구조고요.... 대기업은 안전팀이 따로 있어 이부분이 적지만 중소 중견기업 건설업체는 현장소장 밑에 안전팀이 있는 구조라 스트레스 많이 받으실겁니다..... 아무튼 좋은곳에 취업하길 바랄게요...그리고 남은 대학생활 정말 잘 보내세요... 암모나이트 13학번이....

    21.01.04 작성 신고
  • 안전이라면...

    밑에분 얘기처럼 수질,대기,위험물(소방)

    산업안전(전기,소방.토목,건축,감리??)

    정도 이겠네요.

    어느 분야로 갈지만 정하시면 되겠고

    자격증은 많아봤자 크게 필요없습니다.

    주자격증 1개 보조자격증 1개 정도면 좋을것 같습니다.

    21.01.0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전기기사 / 8년차

    공부를 많이 하셨네요, ~ 요즘 취업이 힘든건 모두가 마찬가지입니다. 시기를 잘 택하면, 취업은 쉬워요.. 그후 가 중요하지.. 2~3월이면, 신입채용은 많아 질듯합니다.
    신입때는, 많이보시고, 일도하셔야합니다. 시간이 보약입니다. 3년을 참아보며 공사 2개정도를 해보시면, 왜 이런 잡다한일에다, 왜 많이 느껴야하는지를 아실꺼입니다.
    안전으로 정했다면, 비계정도는 직접만들어보고, 얼마나 하중을 지지하나, 공부가 많아질 거입니다. 와이어도 쳐다만보아야하는게 아니고 , 와이어만 공부하는게 엄청많아질 것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법규도 그렇고.. 점검도

    21.01.0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전기기사 / 9년차

    너무 생각이 많으신 거 같은데
    일단 이력서 100개 넣어보시고...

    21.01.0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전기기사 / 12년차

    안전이 제조업과 건설쪽 어느곳을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21.01.0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전기기사 / 25년차

    안전분야는 대인관계 입니다
    네가 남과 부딛히고 대화하고 리드할수 있는지 부터 생각바랍니다
    기회는 얼마든지 있읍니다
    화이팅

    21.01.0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인사담당자 / 10년차

    안전은.. 안전부서만 따로있는 경우는 드물고.. 보통 환경안전이라는 직무로 엮여 있습니다. 수질, 대기, 위험물, 산업안전 네가지 자격증을 취득하는게 일반적이고, 최근에 법규가 강화되어 화관법, 화평법, 등에 대한 지식도 있으면 좋습니다.

    21.01.03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