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공간을 만들때 스케치업을 많이 쓰나요 맥스를 많이 쓰나요?

조회3,450
21.01.19 작성
주거공간이나 상업이나 다른 공간을 만들때

회사에서 어떤 프로그램을 자주 사용하고

이용하는지 궁금합니다.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12
  • 프로필 이미지
    인바운드상담원 / 1년차

    스케치업이요! 맥스는 전시쪽에서 더 많이 쓰고 맥스 자체가 무겁고 복잡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공간디자인 쪽은 대부분 스케치업 많이 써요!

    21.01.3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공간디자이너 / 6년차

    설계실은 기본적으로 캐드, 어도비 툴 (일러스트, 포토샾), 스케치업+렌더툴 (브이레이 or 엔스케이프)를 많이 사용합니다.

    맥스보다 스케치업을 많이 쓰는 이유는 설계 특성상 수정이 많을 수 밖에 없는데, 맥스와 달리 스케치업은 렌더를 걸지 않아도 대략적인 결과물을 예상하며 작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1.01.2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디자이너 / 3년차

    대기업 건설사하고 많이 일해봤는데 보통 스케치업 자료를 주고받은 기억이있습니다.
    인테리어나 사이니지관련은 스케치업으로 처리하는거같습니다.

    21.01.27 작성 신고
  • 대세는 스케치업입니다. 캐드도면 호환돼서 편리해요. 맥스는 렌더링할때 좋지만 그것뿐이예요. 스케치업도 Vray next for skp 나오면서 상당히 강력해졌어요. 그래도 아직 맥스 쓰는 회사가 아직 많아서 맥스 써도 될듯요,

    21.01.25 작성 신고
  • 화사마다 다르다고 알고 있습니다 스케치업과 맥스를 병행하는 곳도 많으니깐요

    21.01.23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공간디자이너 / 6년차

    지금까지 일했던 곳 토대로 말씀드리면 전문 cg 팀은 맥스 사용하고,
    일반적인 디자인회사나 설계회사(인테리어 전시 등)는 스케치업으로 빠르게 작업합니다.

    21.01.2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공간디자이너 / 12년차

    방안단계에서는 3~4가지의 대안을 빠른기한 내 보여주기 위해 스케치업으로 작업을 합니다
    그 후 엔스케이프를 이용해서 대안이 확정되기전까지 렌더효과를 보여주고 방안이 확정되면 루미온으로 투시도나 동영상을 만들면 계획에 대한 공정이 어느정도 끝나게 됩니다. 제가 추천한다며 스케치업 + 엔스케이프+루미온 조합이네요

    21.01.2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건축기사 / 17년차

    요즘엔맥스보다스케치업선호합니다 작업시간도 빠르고 퀄리티도 좋습니다

    21.01.2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광고디자이너 / 6년차

    인테리어는 스케치업 많이쓰고, 저는 건축이었는데 3d맥스랑 bim써요

    21.01.2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건축기사 / 10년차

    맥스는 보통 외주를 많이 맏기구요,
    스케치업을 잘 활용하시는게 요즘 트랜드상 좋습니다.
    오토캐드, 포토샵, 일러정도는 잘 하셔야 좋아요.

    21.01.20 작성 신고
  • 회사마다 다르긴한데 스케치업을 주로 쓰는것 같아요
    멕스쓰는 곳들도 있고 다양한 프로그램 쓰는 회사도 있어요 본인이 원하는 회사 찾아보고 그 회사에서 원하는 사항에 맞춰서 준비하시면 될것같아요^^

    21.01.1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건축기사 / 7년차

    엔스케이프 쓸줄알면 스케치업이 훨씬 더 유용합니다
    맥스는 비효율적이에요

    21.01.19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