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기계설계공학과 18학번 2학년인데 뭘 준비해야할까요?

조회1,223
21.04.28 작성
솔직히 아직 뭘 해야겠는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1학년때는 게임만해서 1학년 1학기 영어F포함 3.5 2학기 3.3정도 나왔습니다. 군 전역하고 정말 열심히하는데 다른동기들도 열심히해서 학점이 잘 나올지는 모르겠네요. 딱히 어디쪽으로 가고싶다고 정해놓은건 없어서 무슨 준비를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18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8년차 / 01학번

    전자과 졸업생입니다

    영어 700 / 오픽 im1 이상
    학점 높으면 높을수록 좋음
    설계툴 확실하게 익히기
    정도요

    21.06.2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11학번

    안녕하세요? 후배님
    가능한 인턴이나 기계관련 대기업 아르바이트를 해보시는것을 추천드려요. 왜냐하면 4학년이 되도 자기가 어떤 일을 좋아하는지 감이 안오고 회사에서 무슨 일을 하는지도 모르거든요...
    정말 아직 늦지 않았으니 산업기사 자격증을 따시던가 인턴과 대기업 기계직 관련 아르바이트 해보세요.
    교환학생, 대기업 서포터즈, 각종 교육에 다 참여하세요 꽁짜면..

    21.05.17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15학번

    안녕하세요 후배님 저는 기계공학과 졸업생입니다.
    중요한 시간이지만 정보가 없는 것도 사실입니다. 저도 학교 복학해서 뭘 하고 싶은지 모르는 상태였으니까요. 취업상담센터가면 최소한 직무나 산업군을 고르라고 하는데 그것도 쉬운 일은 아닙니다. 무슨 일을 하는지도 잘 모르니까요.

    졸업하고 취업전선에서 돌이켜보면 그냥 다양한 경험을 해보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신입사원이 어필할 수 있는건 역량이 아니라 경험밖에 없으니까요. 자소서는 내가 이런 고생에서 어떤 태도로 해결하면서 무엇을 배웠는지 적는 것이라서 정보가 없고 뭘 할지 모르신다면 일단 망설이지말고 도전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고생을 하고 육하원칙에 맞게 간단한 메모를 남겨놓으면 나중에 자소서 작성하실때 큰 도움이 될거라고 믿습니다.

    21.05.1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13년차 / 99학번

    이력서 검토 경험이 있어 조언 드립니다.

    경쟁률 심할경우 우선 토익과 학교성적으로 필터링 합니다.
    토익과 학교성적 잘 나와야 합니다.


    그리고 설계 프로그램 "카티아" 마스터!!! 하시기 바랍니다.

    설계 회사 취직 시 카티아 배우시면 취직 할 곳 많습니다.

    21.05.03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14학번

    대학원은 오지 마세요

    21.05.03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25년차

    멀리보자면 학교공부 열심히 진심으로 해두는 것이 중요하고,
    당장은 3D 캐드, 어학점수가 유리하지요..
    학교 공부 안해놓으면 경력올라가도 경쟁력이 없어요..

    21.05.02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설계엔지니어 / 19년차

    역학 공부를 빡시게 하시기를.
    한국에서 설계 난다긴다 하는 사람들도
    설계역학 쥐뿔도 모르고 하던데로 설계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쓸대없이 솔리드 웍스니 카티아니 이딴거 공부 하지 마시고
    학교에서 배우는 수준만 하세요.
    어차피 회사 들어감 다 배우고 시간이 지남 날라 다닙니다.
    캐드 공부에 힘쓸시간에 역학 공부를 빡시게 하심
    선배들이 해 놓은 설계 본인이 해석하게 될겁니다.
    그리고 외국언 뭐 한국 사회에서는 기본이니 하나정돈
    열심히 하시고요.

    21.05.01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설계엔지니어 / 18년차

    영어, solidworks

    21.05.0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기계엔지니어 / 34년차

    기계분야 자격증이죠
    우선 설계라면 기계설계 및 autocad , 3d inventer 노동부 hrd_net 직무교육 받으시고 자격증 취득 및 교육 평가 받으세요

    21.04.30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설계엔지니어 / 10년차

    본인이 어디로가야할지가 정해져야 세세하게 방향이 나올듯합네요.
    기본부분은
    영어,회화,언어적인부분.
    다른 외적인것은 방향이 정해지면 그때 다시 질문올리셔요.
    참고로 설계는 회사마다 지향하는 스타일이 틀려서 기본 설계 자격증만 들고 계시다가
    회사가서 다시 배운다는 생각으로 가셔야할듯합니다.

    21.04.3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설계엔지니어 / 10년차

    설계직 9년차 과장입니다.

    전공 살려서 취직한다는 조건으로 이야기하면,
    영어 점수 없으면 회사 이력서 통과가 안됩니다.
    통과 되어도 면접에서 거의 대부분 탈락됩니다.
    기사는 없어도 합격은 되지만, 3~4년차 부터 진급이며, 이직이 힘들어집니다.

    영어점수는 서류 통과용이랑, 면접용 둘다 준비 해야 합니다. (토익 & 토스 & 프리 스피킹)
    취업 후에는 진급용 점수만 맞춰 놓으면 됩니다.
    만약 영어 많이 쓰는 회사 가면, 일 하면서 영어 자연스럽게 배우고 공부하게 됩니다.

    기사 자격증 없이 취업하면 일 하면서 대충 필요한 부분만 배우면서 일 할 수 있어요. 그런데, 3~4년 안으로 기사 자격증 못 따면 평생 못따요. 그리고 그 뒤로는 기사 자격증 때문에 진급이랑(과장 or 차장) 이직이 힘들어 집니다.

    개인적인 추천으로는 일단 영어 먼저 준비하세요.
    그리고 기사 자격증 준비 하시고요.
    학점은 당연히 잘 챙겨야죠. 요즘 학점 커트라인은 모르겠지만, 제가 취준생일때는 기계과 3.8이면 거의 충분 했습니다. 단 최소 3.5는 맞춰야 합니다.

    전 기사 없이 영어랑 학점만 간신히 맞춰서 취직했습니다.

    전 P 계열사를 첫 회사로 입사해서 현재 독일계 회사를 다니고 있으니 참고하세요

    참고로 회사 취직하면 필요한 자료 및 문서의 80% 이상이 영어로 되어 있을꺼에요. 그리고 영어 메일이랑 메세지도 자주 받습니다.
    뭐 이것도 사실 케바케 지만 참고 하세요

    21.04.2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설계엔지니어 / 5년차

    뭘하긴요 기계설계에서 도망가야지;;

    21.04.2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설계엔지니어 / 12년차

    우선 뭘 하고 싶은지 아니면 10년 후에 뭘 하고 있으면 행복 할지를 결정하시는게 먼저 일 것 같습니다.

    21.04.29 작성 신고
  • 3학년 끝나자마자 기사시험 쳐서 취득하고 이전에 토익 700이상 한국사 1급 취득하고 시간남으면 컴활 1급 취득하세요 기사시험 치고 방학때 인턴해서 경험 쌓으시고 4학년 2학기때부터 공기업 원서쓰면서 치험치러 당기세여

    21.04.29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설계엔지니어 / 34년차

    Auto CAD. CAD CAM 기계설계 자격증을
    취득하면 좋을성 싶고요 기계도면을 해독 겸 그리기 설계할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 할것 같습니다

    21.04.29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인사담당자 / 10년차

    우선 잘모를때에는 외국어 공부를 해두세요.. 잘모르는 사람과 잘모르는 주제에 대해 영어로 말할 수 있을 수준이되면 어떤 일을 하고 싶건 무조건 도움이 됩니다. 추가로, 인적성검사라는.. 아이큐 테스트 비슷한 시험을 인터넷에서 검색해서 꾸준히 연습해 보시구요.

    가장 중요한건 귀하가 잘할만한 계열을 전공에서 찾는 것인데.. 이제까지 들어보셨던 전공 과목들을 나열해 보시고, 이 중에서 노력을 덜해도 점수가 잘나왔거나, 점수가 일관성있게 높게 나오는 쪽이 귀하의 적성에 맞는 분야이니 이 분야들을 집중적으로 수강하고 관련 연구실, 외부 교육, 저널 구독, 등을 하며 판단해 보시는게 좋습니다. 그러면 자기 컨텐츠가 많아져서 압도적으로 유리해집니다.

    21.04.28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학교·특수학교교사 / 22년차

    서울 좋은 대학 아니면 인천 남동공단 행.ㅡ 조심

    21.04.28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경영·비즈니스기획 / 32년차

    우선 전공 공부에 충실히 하셔서 학점을 잘 유지 하셔야 합니다. (평생 따라다닙니다.)
    그리고, 요사이는 모든 학과가 IT 능력을 필요로 합니다.
    컴퓨터 기본과 C언어/파이썬 등을 익혀 놓으세요.

    21.04.28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