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선배님 도와주세요..

조회559
21.06.24 작성
저는 인테리어 시공관련과도 아니고 배운적도 관련근무라 해봐야 일용직으로 건설현장에서 조금 일한거뿐인데..합격은 커녕 서류통과조차 쉽지않을꺼같은데 방법이 없을까요..늦었지만 지금부터 착실하게 인테리어쪽 기술을 배워서 살아가고 싶습니다..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10
  • 프로필 이미지
    현장관리자 / 2년차 / 10학번

    일단 제도하는 것부터 배우도록 하죠 도면 그리고 파악하는 방법부터 알아야 진행이 가능할 것 같은데요?

    21.08.10 작성 신고
  • 여기까지가 새글 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26년차

    어떤일이던 첨 부더 배부른게 없습니다 한발 한발 디디다보면 모든 기술을 습득 하는거지요
    열심히하다보면 언젠가는 그 기술이 내손에 있습니다 욕심부리지말고 차곡차곡 ..화이팅*^^*

    21.06.28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5년차

    그럼 일단 인테리어 조공(대모도)으로 취업을해서 기술을 하나씩 습득하며 한걸음씩ㅇ나가는게 정답입니다

    21.06.26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현장관리자 / 23년차

    시공을 모르면 좋은 설계가 나올수 없습니다..
    이말은 시공이 제일 중요 하다는 애기죠.
    시공을 먼저 배우고 경력이 쌓이면ㅊ시공 혹은 설계로 결정 합니다.
    성격이 긍정적이고 외향적이면 일용직이던 계약직이던 현장시공에서 일하면서 좋은 소장이나 선배들 만나서 붙임성 있게 잘하면서. 최소 3년 이상 경력 쌓으면 오라는데 많습니다..
    그때 골라서 가고 시간 날때마다 기능사 기사 시험 준비하면 됩니다..
    기능사는 고질이면 되고 기사는 대졸 아니라도 기능사 따고 경력 4~5년 이상이면 시험 볼수 있습니다.
    이게 현실적으로 돈도벌고 경력도 쌓을수 있는 최선입니다..

    21.06.2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현장관리자 / 19년차

    인테리어 목수일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인테리어 공정에서 중요한 프레임은 목수일이 대부분입니다 급여도 프리렌서이긴하지만 관리자 보다 좋을것 같습니다

    21.06.2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건축기사 / 27년차

    최종학력이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예전에는 고졸이나 비전공이어도 현장에서 현장기사로 일하면서 진짜 몸으로 때우면서 실무를 익히고 현장 경력으로 스펙 쌓고 3, 4년 정도 죽기살기로 일하면 큰회사는 아니더라도 인테리어 전문업체에서 중간관리자(과장이나 차장급)까지 올라가고 독립해서 인테리어업을 지속하는 사례도 꽤 있었습니다. 요즘은 워낙에 전공자가 많아서 비전공자 취업율이 예전보다 낮기은 하지만 대학레 진학하기가 어렵다면 최소한 인테리어 전문학원에서 캐드와 스케치업 정도는 익혀야 하고 실내건축기사(요즘은 산업기사라고 하던가?) 기사 정도 취득하면 좋을것 같네요. 그러면서 잡코리아 계속 서칭하면서 학력, 경력조건 없는 취업공고에 무조건 이력서 올리시고 면접 기회가 오면 무조건 죽기살기로 열심히 차겠다는 의지를 면접보는 담당자에게 어필하시면 열번 찍어 안넘어가는 나무 없듯이 조금은 희망이 보이지 않을까 합니다. 의지 잃지 마시고 도전 하시길 바랍니다. 화이팅 하세요!!!

    21.06.2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현장관리자 / 25년차

    사실 인테리어라고 해서 특별한건 없습니다.
    현장에서 구르면서 몸으로 익히는게 제일 소중한 경험입니다.
    요즘 인테리어현장에 사람이 모자라서 많이 힘들다고 합니다~~~
    현장에서 다른거없습니다
    정리정돈,현장정리 잘하고있음 그다음은 자동으로 익혀지게 되있습니다.
    당분간은 마음굳게먹고 조금만 고생하면 될거같네요

    21.06.2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현장관리자 / 17년차

    공고와 같이 전공무관 생짜 신입으로 가시면 개고생 합니다.
    급여도 알바 급여 정도.....
    요즘 한샘같은곳 교육원도 생겼다고 합니다.
    공사관리냐, 직접시공이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둘다 현업의 기술은 어느정도 알고 가는게 좋고,
    아래분들 얘기처럼 관리자라면 최소 기능사라도 취득하시고, 직접시공 이시면 여러가지 현장 경험 후 가장 적성에 맞는걸 찾아보세요.....타일, 도배, 필름 등등

    21.06.25 수정 신고
  • 채용공고는 현장관리자인데요~전공 아니셔서 자격증 응시자격 안되시면 기능사라도 따세요!
    현장관리자여도 남자분들은 전공자여도 현장관리자로 가기도하거든요! 도면 이해해야되고 설계팀하고 소통이 되야되서요
    현장관리자는 시공하시는분들이 도면대로 시공을 하는지 관리하는 일이에요~

    시공 기술자 (목수, 타일시공 등)하고싶으시면 시공업체 취업하셔야될거에요!

    21.06.2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쓱하 Lv 4
    전기기사 / 16년차

    1차 서류에 합격할 수 있는 스펙을 쌓으세요. 인테리어 관련 업무 중 어떤업무를 희망하는지는 모르겠네요. 단순 목수일을 하고자 하는건지, 아니면 공사관리 업무를 하고싶은건지 고민하시고 그에 필요한 합격스펙을 준비하세요.

    21.06.24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