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멘토님들 취업관련 질문 있습니다.

조회477
21.07.14 작성

안녕하세요.

지금 전문대에서 네트워크과 재학중인 24살입니다.

1학년 어영부영 보내고 군대갔다가 지금 2학년 1학기를 보내니

발등에 불이 떨어져서 큰일났더군요

지금 가진게 평균 4.2 학점과 정보처리산업기사 밖에 없는데

네트워크 쪽으로 취업해서 적당히 잘 살아갈려면 어찌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CCNA와 네트워크 관리사 2급을 따라해서 준비 중에 있고

혹시 몰라 개발 쪽에 필요한 C, Java 도 공부 하고 있는데

더 필요한 것이 어떤게 있을까요?

어떤 방향성으로 계획해야할지 궁금합니다.

멘토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10
  • 프로필 이미지
    통신엔지니어 / 15년차

    우선 네트워크 쪽도 현재는 가상화 기술이 기본입니다. 따라서 가상화 네트워크 기술을 기본적으로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요즘은 Devops 엔지니어가 대접을 받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가상화 네트워크 개념을 인지 하시고 저 같은 경우는 파이선을 추천드립니다. 가상화 네트워크는 KVM/Openstack을 기본으로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여기에 Devops 엔지니어로 간다고 한다면 파이선 프로그래밍을 바탕으로 Kubernets(K8s)를 공부 해 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해당 국제 자격증 CKA를 목표로 진행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외국에서는 해당 자격증 소지시 6만불 부터 연봉이 진행된다고 하네요. Kubernets 개념을 통해 컨테이너 가상화 기술을 익히고 이에 따른 CI/CD 기술을 익히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제가 봤을 때는 Devops 엔지니어를 목표로 잡고 Devops 엔지니어도 다양합니다. 어떤 쪽이 관심을 가는지 모르겠습니다. 예를 들어 단순 어플리케이션, 또는 빅데이터 분석 or 인공지능 등등 해당 관심 분야에 대한 공부도 함께 병행해야 합니다. 그리고 요즘은 대부분의 회사가 인프라를 온프레미스 환경 보다는 퍼블릭 클라우드환경(GCP,AWS,애저)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따리서 해당 플랫폼에 대한 개념 및 VCP 네트워크 구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퍼츨릭 클라우드 3가지 중에 하나 정도는 숙지 해 두셔야 합니다.

    21.07.27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네트워크엔지니어 / 21년차

    NCS 열심히공부해서 공공기관 청년인턴부터시작 공기업 취업하세요. 잡알리오 사이트와 친해지시고.

    21.07.22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네트워크엔지니어 / 3년차

    클라우드 분야도 눈여겨보시고 스터디 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21.07.2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19년차

    2년재라 학점 인심이 좋은걸 감안한다 하더라도 학점이 괜찮아 면접관에게는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CCNA와 네트워크 관리사 자체는 다들 덤프로 공부하는 걸 알긴하지만 최소한의 노력을 했다는 것으로 이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학교가 어떤지는 모르지만 엔지니어라면 동종에 이미 취직한 선배를 통한 인적소개로 구인하는 방향이 쉬울것이고 면접을 통해서도 구직하것도 현재상황 상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Linux OS쪽 자격증 하나정도 더 준비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21.07.2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네트워크엔지니어 / 19년차

    네트워크 하실경우 신입이시면 CCNP까진 도전해보시고. 아니면 주니퍼 자격증도 따보심이 좋습니다 언어는 파이썬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학벌은 4년재 추천드립니다 사이버대 말구요

    21.07.21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네트워크엔지니어 / 11년차

    지금 IT전반적으로 사람이 부족합니다, 본인이 교유관계에 문제없고 사람이 하는 말을 잘 알아듣는다면 취업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지금 뭐 흔히말하는 NI중견기업들도 지원자가 없어서 골치를 썩고있을 정도니 일하는건 어렵지 않습니다.
    단 그 일이 내가 원하는 일이냐? 이건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네트워크도 파트너사가 있고 갑사가 있고 그 안에서도 IP통신, 전송, DC등 많은 분야가 나뉩니다
    특히나 IT쪽일이 다 마찮가지 겠지만 계속 배우고 익히고 해야되는 직종이라 딱잘라 말하면 재미를 못느끼거나 억지로 하면 100% 다른 업종으로 이탈합니다.
    무조건 취업을 우선해야지 이런 생각은 나중에 아 ㅅㅂ 왜그랬지 딴거할껄 하는 생각이 들게하는 주요 원인이기도 하죠
    그러니 지금 가슴에 손을 올리고 먼저 자기 자신에게 물어보세요 네트웍을 왜 하고싶은지 어떤걸 해야 내가 잘할수 있을지 해당 질문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뭘해도 결국 이탈하고 인생 ㅈ망테크 타게됩니다.

    21.07.15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네트워크엔지니어 / 32년차

    전망있는 회사에 가장 힘든 필드엔지니어 부터
    착실히 시작하세요.
    그리고 경험과 경력을 쌓아 나가게 되면
    본인이 가고 싶었던 분야로 진출할 수 있을겁니다.

    21.07.1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기술·전문강사 / 4년차

    네트워크 자체로 뚤을려고 하시면 학점이나 자격증 잘파시면 됩니다... 최소 정보처리 산기 이상 가지시면 됩니다...
    다만 NW가 그렇게 만만하지는 않을겁니다...
    중앙관제를 하신다고 해도 초봉이 병맛인 경우가 많으니 일반적인 협력사 오더로 가더라도 공공기관쪽 파트로 가시는게 그나마 낳으실겁니다!

    21.07.1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웹개발자 / 16년차

    적당히 잘 사실거면 그 정도로도 충분헤요. 어차피 사회나와서 경력 쌓아야하니 처음 입사하는 회사가 중요함

    21.07.1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네트워크엔지니어 / 5년차

    4년제 편입
    처리기사
    보안기사

    가지고있으면 기본적으로 취업은 되요
    지금 중요한건 4년제 가 우선이에요.

    21.07.14 수정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