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보건 관리자의 업무 및 요구되는 사항, 분위기

조회9,209
21.07.19 작성

병원에서 근무하다가 산업쪽 이직하려고 하는데 보건 관리자의 업무와 요구되는 자격요건, 부서 내 분위기 등이 궁금합니다.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4
  • 프로필 이미지
    기타의료종사자 / 7년차

    어떤 직종의 보건관리자가 되느냐에 따라 업무 환경이 달라집니다. 크게 보건관리자는 건설업 보건관리자와 제조업 관리자로 나뉩니다. 업무의 큰틀은 같으나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은 사업체마다 큰 차이를 가지게 됩니다. 건설 현장의 보건관리자는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현장의 상황에 맞추어 업무를 실시하며, 건설업보건관리자는 2015년 부터 도입되어 현재 7년밖에 되지 않은 신종직종이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제조업 보건관리자는 기존에 이미 포지션이 있던 자리이기에 입사 후에 업무를 연장해서 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건설업과 제조업의 보건관리자 업무에는 서로 장단점이 있기에 어떤 직종이 더 좋다라고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건설현장 보건은 아까말씀드린대로 생긴지 얼마 안된 직종이기에 본인의 능력을 한껏 발휘한다면 돋보이는 직종이 될것이며 제조업은 기존의 틀을 깬 업무를 보여주어야만이 성과를 이뤄낼 수 있다는 차이가 있겠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보건관리자의 주된업무는 작업환경측정, 직업성 질환 예방, 근골격계질환 예방, 뇌심혈계 질환 예방, 혹서기/혹한기 근로자 건강관리,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일반/특수 건강검진, 현장 msds 관리 및 교육 등이 있으며 부서는 대부분 안전이나 환경 관리를 하는 팀 부서에서 안전보건팀이나 혹 환경보건팀 등으로 속하여 근무하게 됩니다. 저는 현직 대기업 건설사 보건관리자 7년차 재직중입니다.

    21.07.22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간호사 / 5년차

    보건관리자 업무는 산안법에 근거하여 건강관리 응급처치 건강증진 작업장관리 등 아주 폭넓게 있습니다. 병원에서 근무할때보다 사무 업무가 많기때문에 컴퓨터(엑셀 ppt 등) 사용능력도 중요하고, 업무를 하다보면 작업환경측정 등 산업위생쪽 업무에서 답답함을 많이 느낍니다. 저뿐만 아니라 간호사 출신 많은 보건관리자 산업위생기사 자격증을 취득합니다. 다른 업무와 겸직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지만 소규모 회사의 경우 안전이나 총무 업무를 같이 보는 경우도 많습니다.

    21.07.2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간호사 / 6년차

    보건관리자의 업무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나와있습니다만.. 산업쪽으로 옮기실때 처음에 큰 회사에 안가면 겸직을 시킨다던지 일을 잘못배울 위험성이 높아서 (이게 부당한건지 잘못된건지도 모르는 불상사가..) 처음엔 큰회사로 제조업회사로 가서 한 3년만 하시면 웬만한 산업간호사자리 커버가능할겁니다.

    21.07.20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간호사 / 17년차

    간호사이면 특별한 추가 자격조건이 더 필요하진 않고요.
    보건관리자의 업무는 산업안전보건법 에 의거해서 이루어 지기때문에 법령을 잘알아야 해요.
    보건관리자로 신규 선임되면 직무교육을 법적으로 받아야하기때문에 그때 조금더 업무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게 될것입니다.
    간단히는 근로자의 건강관리와 작업환경 개선 이라고 보면 되요.
    부서내분위기는ᆢ각 회사마다 다르겠죠?ㅋ

    21.07.20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