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수산물 취급업체 구매업무

조회216
22.02.14 작성

식품회사에 지원하려합니다

그간 식품회사,수입자전거와 자동차회사에서 영업관리일을 9년햇고 최근엔 제조회사 회계일로 8년 근무햇습니다

혹시 식품회사일은 거의 20년도 넘은거라 솔직히 기억도 안나지만 단조로운 품목여서 어려움도 없엇는데

혹시 수산물 수입회사는 업무가 복잡할까여?

직군모집이 구매쪽이던데..

회계일을하면서 수입업무도 맡아해오긴햇는데..

오랜만에 이직을 해서 어렵네여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2
  • 프로필 이미지
    경영·비즈니스기획 / 27년차

    구매업무는 해당 직군에 대한 이해가 50% 이상입니다.
    그래서 동종업계 출신이 유리합니다.

    22.02.1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구매관리자 / 3년차

    구매가 단순 구매업무만이 구매가 아닙니다.
    물런 쪼만한 중소야 단순 발주 및 납기일정만 체크하면 되겠는데
    체계잡힌 곳이면

    매년 kpi 실적도 생각해야할것이고(구매라면 당연 원가절감)
    볼륨네고 및 ve 원가절감 등 여러가지가 있을테니까요

    수산물 수입의경우 보통 직수입인건지 아니면 유통업체 통해서 들어오는 건지에따라 업무 난이도도 다를것이고요
    수출입 통관 업무 진행해주셨다면 직수입의경우 크게
    문제될것 같진 않네요.

    원자재 적기공급 /리드타임 파악 후 생산 쇼티지 안나게 조달 / 협력사 이원화 / 수입통관업무 / 원가절감 등 이있겠네요 주로.

    그리고 영업들어오는 쪽애들 네고도 할줄 알아야하는건 기본이고

    물론 상기에 적힌것들 진행하려면 먼저 이직하려는 회사의 생산품목에 대한 정확한 이해부터가 필요하겠죠.?

    (생산계획/bom/입량 등)

    22.02.15 수정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