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경영지원업무 질문이요!

조회887
22.03.17 작성

인사 총무 회계 담당한다는데

회계자격증 없으면 많이 불리한가요?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12
  • 회계가 경영의 일부인데 그에 따른 학과 졸업이나 자격증이 없이 어떻게 하나요?

    22.04.04 작성 신고
  • 업체에서는 자격증 소지자를 우선시 하겠지만 모든 업체가 그런건 아니더라고요. 능력보다 성실성을 따지는 업체들도 꽤 있더라고요. 그러니 도전해 보세요~

    22.03.18 작성 신고
  • 자격증이 없어도 유사 경험이 있으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22.03.18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사무담당자 / 13년차

    회사가 자격증 소지자를 선호하겠지요

    22.03.18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사무담당자 / 2년차

    저는 공공기관 사업부서에서 일했습니다.
    제가 일했던 공공기관 기준!!! 재무 담당자들 회계자격증
    거의 없습니다.

    먼저 인사는 근태관리와 일용직 채용 신고 급여지급서
    작성을 했는데 가면 다 알려주고 하다보면 적응은
    되는데 모르는 건 인사팀이나 재무팀에게 물어보면서 했습니다.

    회계는 추산부 관리 위주로 했습니다. 이것 또한 전임자한테
    인수인계를 받으면서 익혔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응은
    어렵지 않았습니다.

    마지막 총무 또한 정말로 업무만 익히면 어렵지 않습니다.

    종합하자면 공공기관은 3년마다 부서 이동이기에 자격증 구비는 안하시고 만약 사기업 준비중이면서 따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22.03.18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회계담당자 / 8년차

    없어도 불리한건 아닌데 아무래도 담당하다보면 자기자신이 필요하다 느껴지는것 같아요~!

    22.03.18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사무담당자 / 1년차

    아무래도 많이 불리 하죠 저두 틈틈이 공부해서 준비중이에요

    22.03.18 작성 신고
  • 저라면 자격증 업이도 부딪혀 볼 것 같아요. 그렇게 부딪혀보다가 어렵다 생각들면 자격증 공부를 하는것도 빙법이 아닐까 싶네요.

    22.03.18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설문·리서치 / 7년차

    아무래도 회계자격증이 있으면 유리한것 같아요! 그렇지만 실무경험도 중요하기 때문에 더존 사용 경력있으심 어필하심 좋을것같아요~!

    22.03.18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회계담당자 / 16년차

    있으면 좋긴하지만! 자격증이 능사는 아닙니다.
    실무경험이 더 중요합니다.
    적극적으로 지원하십시오!

    22.03.17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외국어강사 / 10년차

    일단 이력서에 자격증이 있는 사람을 면접할 가능성이 높기에 자격증이 있는게 조금이라도 인사 담당자의 눈에 띌 가능성이 높은것이 현실입니다. 하지만 일단 회사에 들어가게 되면 자격증의 유무 보다는 결국 그 회사에서 요구하는 일들을 할 수 있는지가 당연 더 중요합니다. 인사, 총무, 회계는 작은 회사의 경우 한사람이 다 할 수도 있는데 일단 회계일을 하시려면 전산세무 2급 자격증을 취득하시는게 나중에 업무를 배우게 되더라도 더 빨리 배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회사는 자격증이 아니라 결국 실제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가 없는가 입니다.

    22.03.17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경영·비즈니스기획 / 1년차

    경력이 있으면 덜한데 아무래도 자격증 없으면 불리하긴 합니다. 전산회계 1급 정도는
    따놓는 게 좋아요. 시간 있으면 전산세무 2급이나 재경관리사까지 따도 좋구요.

    22.03.17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