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500

Q 이력서에 년차 작성 헷갈리는 부분.. (만 3년, 4년차)

조회16,523
22.07.03 작성

안녕하세요 :) 다름이 아니라, 제가 이력서 및 포트폴리오에 '4년 차 AE 000입니다.'  라는 문구를 넣었는데요. 

실제 경력은 '만 3년 2개월 (인턴 경력 합하면 만 3년 7개월)'입니다. 

 

4년 차로 표현해도 무방할까요~? 보통 만 3년 근무 채우고 4년 차 들어설 때부터

4년 차로 지칭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저도 그렇게 생각했는데요! 


3년 차로 표현하는 것이 더 정확할런지.. 혼란이 와 이렇게 여쭙게 되었습니다 ㅠㅠ!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3
  • 프로필 이미지
    홍보 / 12년차

    한국나이와 만나이의 차이처럼 애매한 표현의 문제이긴 합니다.
    인사 영역에서는 연봉산정 등의 문제로 예민해질 수도 있겠습니다만
    보통의 경우 n년차는 한국나이처럼 쓰입니다.
    예를 들어 2021년 11월 입사자는 현재 2년차이고, 2022년 1월 입사자는 2개월 차이여도 1년차(초년차)로 부릅니다.
    햇수로 따지는 표현이 '~차' 입니다. '~째'랑 같은 의미인 거에요.
    제가 쓴 글에 경력이 12년차로 표현될 건데 제 실제 경력 기간은 만 11개월 8개월입니다.
    작성하신 분의 경력을 역으로 계산할 때 2019년도에 일을 시작하신 것 같은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계산하면 4년차가 통상적인 표현입니다.

    22.07.04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고객센터관리자 / 10년차

    인사관리 및 채용담당 경험으로 조언드립니다`
    우선은 실제로 경력기술서를 바탕으로
    국민연금가입내역, 건강보험 가입 내역을 산출하여
    제출을 하는데요.
    경력산정은 회사마다 다를 순있지만
    보통은 개월수가 아닌
    년수로 계산합니다.
    우리가 연차를 사용할 때도 근속연수를 반영하지 개월수를 반영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공식인정(경력증빙서류) 서류 자료를 기반으로는 4년미만이고, 3년차가 맞습니다.
    통상적으로 보아도 누군가에게 얘기를 할 때 4년차라고 하면 4년이상 경력이라고 생각하지 4년 미만의 경력으로 판단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3년차로서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작성하는 것이 맞고
    4년차 경력(7개월이라는)으로 봐줄지 아닐지는
    기업이나 회사에서 결정하는 부분이기에
    명확한 산정은 어렵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22.07.03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홍보 / 30년차

    네..연차는
    4년차로 표현하는게 맞을듯합니다..
    좋은결과 있으시길..

    22.07.03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