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지게차 신입에 관한 질문

조회742
22.10.12 작성

지게차기능사 자격증 취득한 상태에서 취직하면 지게차파트가 아니라 TO가 날때까지 검수.피킹.입고.출고 등 업무를 하다가 넘어가는 경우도 있나요?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4
  • 프로필 이미지
    11년차

    제가10년 동안 지게차운전을 해온 경험과 느낌으로는 지게차를 이용하는 곳은 주로 물류(입고,출고)가 대부분일거라 생각이 듭니다 지게차에도 톤수가 많고 높은 톤수 일수록 경험이 많아야 일할때도 덜 불안하고 고용주도 믿음이 가서 게속 일을 할수가 있겠죠 하지만 5톤이상 되는 위험부담이 큰 지게차는 월급은 많이 있을수 있지만 그런자리는 잘 안나올뿐더러 경험이 정말 많은 사람을 채용할꺼예요. 그렇다면 국가에서 취득할수 있는 3톤의 지게차인데 3톤은 지게차의 주된 목적은 트럭상하차와 물건의 창고보관이 주된업무여서 땔래야 땔수가 없겠죠 그러니 지게차자격증이 있다고 해서 지게차만 게속하겠다고 하는것보다는 회사에서 생산하는 물건이나 입.출고도 알고 있다면 좋을꺼예요 한마디로 3톤의 자격증은 물건이 상.하차 그리고 물건의 재고정리를 생각하고 계시는것이 마음이 편하실꺼예요 저의 짧은 생각으로 주저리주저리 적었네요 명언중에서 이런 글귀가 있어서 몇자 끄적어 봅니다 아무리 회사가 좋아도 거기에 먼저 있는 선임과 그리고 간부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그곳에서 일하는 것은 매일 지옥으로 출근하는것과 같을 것이다라고 누가 이런 명언을 한걸로 기억나네요 부디 힘내시구 마음에 드신 회사에 합격해서 일하시길 진심으로 바랄께요 홧팅^0^

    22.10.1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화물·중장비기사 / 2년차

    아니요

    22.10.1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납품·배송기사 / 2년차

    지게차하면서 입,출고하는경우도 많습니다.
    회사마다 차이는 있습니다.

    22.10.14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자재관리자 / 6년차

    지게차 신입이면 어느정도 직무에 숙달되기전까지 사고의 위험이라던지의 사유로 인해 바로 지게차 업무를 바로 시키진 않을겁니다. 피킹이나 검수등 현장 직무도 어느정도 지게차 업무와 관계되어 있으니 업무에 일환이라 생각하시고 배워두면 좋습니다.

    22.10.12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