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KOREA

취업톡톡

뒤로

Q 이런 경우 직무가 어떻게 되죠?

조회1,014
23.01.31 작성

공고에 직무 및 업무가 저렇게 나와있으면

생산관리인가요 품질관리인가요? 2개 성격이 많이 다른 일인 거로 아는데 어디에 초점을 두는 걸까요..? 두가지 다 말을 꺼내야할까요?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답변을 입력해주세요. 솔직하고 따듯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휴대폰 번호 메일 주소, 카카오톡ID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내용은 비노출 처리될수 있습니다.
0 / 1,000
  • 답변을 등록하면 닉네임으로 질문자에게 전달됩니다.
  • 개인정보를 공유 및 요청하거나, 명예 훼손, 무단 광고, 불법정보 유포 시 이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은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가 포함되거나 부적절한 답변은 비노출 또는 해당 서비스 이용 불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답변 23
  • 프로필 이미지
    2년차

    생산관리 쪽이 더나을것같네요

    23.02.0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14년차

    생산과품질은 같은 프로세스안에있는
    공동운명체입니다
    납기에 맞춘 생산도중요하지만 고객이요구하는
    높은 품질의제품을 만드는것또한 매우중요합니다
    또이러한 품질의제품을 만드는 또다른큰이유는
    제품단가인하및제조시간단축에따른경비절감을
    할수있다는데 있습니다
    그러므로 생산관리/품질관리 는 한가족입니다

    23.02.01 작성 신고
  • 젊을때는 아무거나 다 하세요 경험이 큰 자산이 됩니다

    23.01.3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호텔종사자 / 10년차

    회사면접볼때문의 하면될거같은데요;;;

    23.01.3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23년차

    생산관리 입니다.

    23.01.31 작성 신고
  • 안녕하세요. 저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올려주신 것과 같이 생산관리에서 주류제조 및 생산 관리, 품질검사 및 공정 유지 관리 로 나눠어 지는 걸로 보이는데 생산관리 안에 품질검사나 공정 유지 관리가 포함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제조 및 생산관리라는 파트로 들어가도 큰 기업이 아닌 이상 중소나 중견은 세부적으로 파트를 나누기에는 인원이 부족하여 생산관리팀에서 품질검사도 하고 공정 유지 관리도 다 할 수 있습니다. 어느 회사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가 개인적으로 경험해보고 말씀 드리는 것은 글로 봤을 때 두 부류로 나뉘겠지만 실무를 했을 때 서로 많은 관여를 하는 것 같습니다.

    23.01.3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24년차

    두가지가 다른일이 아니라 생산관리에는 기본적으로
    Q, C, D 품질, 단가, 납기 라는 3가지가 포함됩니다.
    공고내용은 생산관리채용이며 품질업무가 저런류이다.
    라고 표현한 겁니다.

    23.01.31 작성 신고
  • 생산관리 안에 품질검사가 필수 입니다 생산관리에 속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23.01.3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17년차

    생산관리 업무가 주가되며 생산중 간단한 품질검사(주기적인 중간검사)를 하는거 같습니다 굳이 부서를 나누자면 생산팀 소속 일겁니다.

    23.01.3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17년차

    사무직 보다는 현장 중심관리 같습니다.
    제조 공정관리는 (현장에서는) 생산과 품질이 병행됩니다.
    빨리 많이 만들어도, 불량품이면 의미 없습니다.

    23.01.3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수행·운전기사 / 19년차

    보통 이런 경우는 정해진 생산양도 맞추어야 되고 생산되는 제품을 중간중간 검사해서 품질도 유지해야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생산은 문제가 없으니 품질관리를 더 신경쓰야 합니다.

    23.01.3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회계담당자 / 8년차

    생산관리에 필요한 품질검사로 보입니다. 생산관리중 제조 생관리와 품질검사와 병행하는 공정관리이겠지요
    제조업체 경영방식에 따라 완전 별개로 품질만 요하는 품질경영, 품질관리는 아닌거 같네요. 식품회사쪽은 햇썹이라는 대응관리가 있는데 그것도 아니니,
    이런경우 제조중 품질검사로 불량율 등 검사하여 공정 유지 관리로 되는것에 초점이 맞춰진겁니다.
    그러므로 생산관리 입니다.

    23.01.31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21년차

    제조는 과정 생산관리 검사는 완성제품 검사및포장 즉 제조의 마지막단계라 보시면될것 같습니다 즉 생산의처음과마지막단계까지를 말하는겁니다

    23.01.3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13년차

    중소 기업은 그냥 잡부라고 보시면 되요 ;;

    23.01.3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매장관리자 / 14년차

    두가지 다 한다는 말 같아요

    23.01.3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바이오·제약연구원 / 6년차

    생산관리 하면서 품질도 같이 하는거 같은데요..

    23.01.3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28년차

    모두 해야 하는 것일겁니다
    중소기업은 일당백입니다

    23.01.3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9년차

    생산관리

    23.01.31 작성 신고
  • 생산관리입니다

    23.01.3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26년차

    안녕하세요... 제가 보기엔 생산 공정내의 품질과 공정조건 최적화 유지관리 활동을 통해서 주어진 생산계획을 맞추는 활동으로 보통의 제조 공장의 생산과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으로 보입니다.
    제조공장내의 생산 활동은 “ 공정품질 ” , “ 제품품질 ” , “ 생산계획/자재입고/ 생산량 / 출하량 관리 = 생산관리 ” , “설비보전” 등의 활동이 모두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 이해하시면 될듯 합니다.

    23.01.3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18년차

    네.

    23.01.31 작성 신고
  • 프로필 이미지
    생산직종사자 / 13년차

    중소기업은 다해야합니다

    생산관리

    23.01.31 수정 신고
  • 프로필 이미지
    품질관리자 / 7년차

    생산관리로 보이네요

    23.01.31 작성 신고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