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회원 메뉴

개인회원 정보

이력서 사진
이력서 사진 없음
로그인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링크
아직 회원이 아니세요?

개인회원 서비스

JOBKOREA

기업분석

기업심층분석 4. 캐럿펀트, 고객 / 자사 / 경쟁사 분석

2024.02.21 조회수 203

 

고객, 자사, 경쟁사 분석을 통해 기업이 현재 처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기업이 현재 어떤 곳에 있고, 고객은 어떤 집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경쟁사에 비해 어떤 비교 우위 전략을 가졌는지 살펴보자.


고객 분석(Customer)

Analysis 1
캐럿펀트는 사업 특성상 B2B, B2C보다 B2G(기업과 정부 간 거래) 전략을 펼치고 있다. 사업 초기, 문화재청에서 캐럿펀트의 소프트웨어를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하고 구입해 실측 작업을 수행하는 연구원들에게 배포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Analysis 2
B2G에서 대학 박물관, 재단법인 등 민간 문화재 유관 기관으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창업 초기부터 문화재 유관 기관과 각종 업무 협약을 맺었다. 2020년 9월에는 경북문화재단 문화재연구원과 문화유산 3D 정밀실측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불교문화재연구소, 세종문화재연구원, 강원도문화재연구소, 가야문물연구원, 수원대학교 박물관 등으로부터 다수의 프로젝트를 의뢰받았다.



자사 분석(Company)

문화재 3D 디지털 트윈, AI 전문 기업 캐럿펀트는 기술개발전담부서, 학술용역부서, 신사업개발부로 구성돼 있다. 이 중 기술개발전담부서는 자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보수하고 있다. 학술용역부서는 국내 다수의 매장 문화재 조사기관에서 의뢰한 유물 실층 용역사업에 대해 자체 솔루션을 활용해 보다 빠르고 정밀하게 작업하고 있다. 신사업개발부서는 현재 개발된 소프트웨어 이외에 방대한 연구 데이터 확보 및 다양한 신규 소프트웨어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2022년 국제문화재산업전에 참가한 캐럿펀트는 문화재청 및 국립문화재연구원의 지원으로 5년간 개발해 상용화 단계에 이른 Ach3D Liner를 공개한 데 이어, 세계 최대 IT 전시회 ‘CES 2023’에서도 이 솔루션의 성과를 알려 미국을 비롯한 해외 시장 진출을 꾀했다.

캐럿펀트는 문화재의 실측 프로세스 혁신을 통해 문화재 연구 환경의 질을 높이고 연구 자료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장기적으로 연구자와 인공지능이 협업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경쟁사 분석(Competitor)
Analysis 1. 경쟁 사업자

유물 실측을 위해 3D 스캐너를 활용하는 추세이지만, 문화유산의 디지털 기록화를 위한 3D 디지털 트윈 및 AI 기술을 연구개발하는 캐럿펀트는 독자적인 서비스를 전개하고 있어 경쟁 사업자를 특정하기 어렵다. 다만 문화재 부문 디지털 복원 관련 기업으로 크레아폼 등이 사업을 펼치고 있다.



Analysis 2. 경쟁 상황
# 크레아폼아미텍코리아

크레아폼은 2022년에 캐나다에서 설립된 기업이다. 사업 영역은 전 산업 분야에 걸쳐 있을 만큼 다양하다. 문화재 부문에서는 최첨단 휴대용 3D 측정 및 분석 기술을 개발해 국가유산 디지털 복원,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원하는 기업에 제공한다. 3D로 제품을 생성, 시뮬레이션, 검증 및 공동 작업을 통해 작업 시간과 수익성을 향상시켜 준다.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