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바이린과 나의 눈높이'
저는 늘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는 일이 즐겁습니다. 그래서 한 번도 가지 않은 전혀 새로운 길에 도전하고 있는 한국바이린과 같은 눈높이, 같은 비전을 공유하고 성장할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아쉬운점 1
대학 시절 남들 앞에 서는 것을 배우고 싶어 가입한 ‘유엔한국학생협회’는 학술적인 측면이 강했습니다. 그러나 실용을 중시하는 트렌드로 바뀌면서 3학년 때에는 회원 수가 겨우 3명으로 존폐위기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동료들은 어쩔 수 없는 트렌드라며 아쉬워했고, 저 역시 처음엔 '요즘 애들은'이라며 서운했습니다. 그러다 문득 우리가 그동안 너무 기존방식에만 얽매여 있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에 한 번만 더 노력해 보기로 했습니다. 그 후 동료들과 힘을 모아 학기 초 들어오는 인원만 이탈하지 않아도 충분히 부활할 수 있다는 확신으로 '50명 모으기'와 '이탈율 0%'라는 도전적인 목표를 세웠습니다.좋은점 1
Action Plan 1. 50명을 모으기 위해 기존의 대자보 형식을 탈피하고 SNS 중심의 ‘건국대 탐방캠프’를 기획, 진행하였습니다. 새로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은 동아리와 캠퍼스에 대한 로망이 있다는 것을 활용한 기획이었고, 그 결과 100명이 넘는 지원자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Action Plan 2. 이들의 이탈율을 최소화하기 위해 'AIM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일괄적으로 토론과 봉사를 진행하는 기존의 방식으로는 흥미를 끄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느끼고 단체 야구관람, 궁 투어 등 다수가 원하는 다양한 활동과 국제 이슈 토론을 병행하며 서로의 의견을 민감하게 반영했습니다.
그 결과 3명 만이 남아있던 동아리는 200명 이상으로 더 크게 성장했고 저는 그 짜릿한 성공의 경험을 늘 잊지 않고 있습니다. 이처럼 아무리 어려워 보이는 목표라도, 가능한 수준의 세부 목표를 한 단계씩 설정하고 달성해 나간다면 그 목표를 반드시 이룰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아쉬운점 1
아쉬운점 1 막연히 늘 도전적 이었다는 표현보다는 구체적으로 어떨 정도로 도전적이었는지 간략하게 설명해 주면 좋겠습니다.
좋은점 1 동아리 활동에 대해 작성하는 항목에 맞게 지원자의 동아리 활동 경험에 대해 작성한 점이 좋으며 ‘유엔한국학생협회’라는 독특한 활동에 호감이 갑니다. 또한 문제점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한 점도 좋습니다.
아쉬운점 2 간단하게 요약 정리할 수 있는 내용인데 구구절절 불필요하게 구체적으로 작성한 느낌입니다. 이 부분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봉사활동이나 기타 동아리 활동 경험을 한 가지 더 추가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