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회원 메뉴

개인회원 정보

이력서 사진
이력서 사진 없음
로그인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링크
아직 회원이 아니세요?

개인회원 서비스

취업뉴스

직업

[직업사전] 제관원 - 업무, 연봉, 전망

2021-12-20 15:00 5,182

제관원 업무 연봉 전망 

 

제관원은 철판, 형강, 봉재, 강관 등의 재료를 다듬고 조립하여 보일러, 철구조물, 압력용기, 선박 및 각종 해양구조물 등을 제작한다.

 

[ 목 차 ]


1. 제관원이 하는 일

2. 제관원이 되기 위한 과정

3. 제관원의 연봉

4. 제관원의 향후 전망

 

 

1. 제관원이 하는 일

제품도면을 검토·확인하고, 제관작업의 방법과 순서를 숙지한다

제관에 필요한 강판, 형강, 봉재, 강관 등의 금속재료, 공구와 장비 등을 준비하고, 금속소재에 작업내용을 그리거나 표시한다.

절단선이 표시된 금속소재를 절단기, 성형기, 프레스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절단하거나 구부린다.

원통 형태로 굽힌 두꺼운 강관 등을 리벳, 볼트로 잇거나 용접하여 완성품의 형상으로 가조립한다.

가조립한 것이 도면과 일치하면 용접하여 완성한다.

그라인더나 끌 등의 도구로 용접 부위를 다듬는다.

제관된 제품을 도면과 비교·확인한다.

 

2. 제관원이 되기 위한 과정

제관원이 되려면 공업계 고등학교의 기계 및 재료관련 학과나 직업전문학교의 산업설비 및 소성가공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좋다. 전문대학의 용접학과, 컴퓨터응용기계과, 컴퓨터응용금속과, 산업설비과, 산업설비자동화과 등에서 용접이나 제관 등을 배울 수도 있다. 한편, 직업전문학교에는 일반판금, 타출판금, 자동차판금, 제관 등의 훈련과정이 단기과정으로 개설되어 있다. 제관원은 전문대학 이상에서 용접과, 기계과 등을 전공하거나 관련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면 취업과 업무수행에 유리하다.

 

3. 제관원의 연봉

하위(25%) 3,098만 원,
중위값 3,673만 원, 상위(25%) 4,293만 원
(※ 위 임금 정보는 직업당 평균 30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통계치임. 재직자의 경력, 근무업체의 규모 등에 따라 실제 임금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4. 제관원의 향후 전망

제관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관원의 고용 전망은 철강관제조업, 구조용 금속제품 제조업, 금속탱크, 저장보, 유사용기 제조업 등에 영향을 받는데 자동차, 조선산업의 활황에 기인한 전방산업의 효과 및 제품의 다양화 요구에 따른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 고기능 인력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기능성 플라스틱, 비철금속 소재 등 신소재 대체 재료의 개발 확대와 제관공정의 자동화/기계화로 인력수요가 크게 늘고 있지는 않다. 특히 CAD/CAM 등 컴퓨터 프로그램의 사용으로 업무 효율화가 이뤄지고 공정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기존 제관 분야의 인력감축이 예상된다. 최근 제관기능사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율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는 것도 이 분야의 인력수요 창출이 어렵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한편, 보일러, 덕트, 에어컨 케이스 등의 제작 업무는 숙련을 요구하는 작업으로, 이 분야에 종사하는 판금제관 기능공은 어느 정도 고용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제관 업무는 숙련을 요하는 작업이므로 전문기능공은 취업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 생산·제조·설비·조립 직무 채용 중인 곳 보러가기

>> 취업에 관한 고민 많다면, 취업톡톡

 

 


시리즈 이어보기
>> 전문의사 편 - 국민 64.9%, 의사인력 증원 정책에 찬성
>> 자산운용가 편 - 금융권 2021 채용 키워드 "파격·디지털·전문화"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 합니다.

0 /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