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회원 메뉴

개인회원 정보

이력서 사진
이력서 사진 없음
로그인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링크
아직 회원이 아니세요?

개인회원 서비스

취업뉴스

뉴스

알바생, 가장 개선된 근무여건은 '최저시급 보장' !!

2016-03-28 09:41 1,997

- 알바생 10명 중 6명, 알바 근무 환경 작년과 비슷하다!
- 알바생 10명 중 5명, 근로계약서 작성했다

 


 

 

알바생들은 근무 환경 중 가장 개선된 부분으로 ‘최저시급 보장’을 꼽았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운영하는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몬이 최근 1년 이내 아르바이트를 한 알바 경험자 609명을 대상으로 <알바 근무 환경>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먼저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들에게 ‘작년에 비해 아르바이트 근무 환경이 나아졌는지’ 물었다. 그러자 65.7%의 응답자가 ‘비슷하다’고 답했다. ‘나빠졌다’는 답변은 18.7%였으며, ‘나아졌다’는 응답은 15.6%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다음으로 아르바이트 근무 환경 중 개선된 부분을 조사했다. 아르바이트 근무 환경이 ‘비슷하다’와 ‘나아졌다’는 응답자들에게 ‘아르바이트 근무 환경 중 개선된 부분이 있는지’ 묻자(*복수응답), 53.7%의 응답자가 ‘최저시급이 보장됐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근로계약서를 작성했다(27.1%)’, ‘1일 근무시간을 준수했다(22.0%)’, ‘야근/주말 근무 시 추가 수당을 지급한다(9.1%)’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아르바이트 근무 환경이 개선된 이유로는(*복수응답) ‘취업포털의 CF, 알바 권익 보호 캠페인 시행’이라는 답변이 35.8%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알바생들의 적극적인 권리 주장(28.7%)’, ‘알바 부당대우에 대한 정부의 철저한 관리감동(27.7%)’, ‘사업주의 의식 변화(24.6%)’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반면 아르바이트 근무 환경이 개선되지 않은 이유(*복수응답)를 묻자, ‘사업주의 인식 부족’이라는 답변이 50.9%로 1위를 차지했다. ‘허울뿐인 근로기준법 교육, 캠페인(44.7%)’, ‘알바 부당대우에 대한 정부의 소극적인 관리감독(43.0%)’, ‘알바생을 존중하지 않는 소비자들의 태도(22.8%)’ 등의 답변도 있었다.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들에게 ‘알바 근무환경이 나아지려면 누구의 인식이 바뀌어야 하는지’ 물었다. 그러자 ‘고용 사업주’라는 답변이 70.6%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정부 당국(13.1%)’, ‘소비자(8.7%)’, ‘알바생들(5.6%)’ 등의 답변이 나왔다.

 

‘향후 알바 근무환경이 나아질 것이라 생각하는지’ 묻자, 과반수의 응답자가 ‘그렇다(61.6%)’고 답했다. 반면 ‘아니다’고 답한 응답자는 38.4%였다.

 

다음으로 설문에 참여한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1일 근로시간’, ‘근로계약서’, ‘최저시급’ 시행 여부를 조사했다. 먼저 ‘최저시급을 보장했는지’ 묻는 질문에 82.3%의 응답자가 그렇다고 답했다. ‘1일 근로시간을 지켰는지’ 묻는 질문 역시 76.4%의 응답자가 ‘그렇다’고 답해 준수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근로계약서’를 작성했는지 묻자, 51.2%의 응답자만이 ‘그렇다’고 답해 ‘1일 근로시간’, ‘최저시급 보장’에 비해 준수되고 있지 않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알바몬은 구직자의 근로여건 개선을 위해 지난달 23일부터 고용주와 알바생들이 보다 쉽게 근로계약서를 쓸 수 있는 ‘함께 써요 근로계약서’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알바몬의 근로계약서 서비스는 PC웹은 물론 스마트폰을 이용해 어디서든 간편하게 근로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다.

 

알바몬을 운영 중인 잡코리아 알바몬 사업본부 이영걸 상무는 “혜리가 등장한 알바몬의 ‘알바가 갑이다’ CF를 통해 최저시급 보장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며 “알바몬이 지난 2월부터 운영 중인 ‘함께 써요 근로계약서’ 서비스 역시 근로계약서에 대한 인식을 높여 알바생들의 권익 향상에 큰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상우 stak66@

 

관련 글 더 보기

> 알바몬에서 빠르게 '근로계약서' 작성하자!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 합니다.

0 /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