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채용일정

기업마다 선호인재 다르다! 중소기업 `성실함과 책임감` 대기업은?

2013.02.28 | 공지사항

안녕하세요~! 라이브 공채소식 알림이 담당자 늠름이 입니다! 세상에는 참 다양한 사람들이 살고 있습니다~ 그만큼 많은 유형의 사람들이 있을 텐데요! 기업에서는 어떤 유형의 사람을 원할까요? (궁금궁금>_<) 기업에 따라 선호유형에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대기업은 책임감을 그리고 중소기업은 성실성을 꼽았다고 합니다. 둘 다 정말 중요한 덕목이죠^^ 취준생 여러분 우리 모두 책임감도 강하고 성실성도 높은 사람이 되어야겠죠? 그 외 기업들에서 선호하는 것들이 무엇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대기업 ‥ 책임감, 협조를 잘하는 유형 중소기업 ‥ 성실함, 일을 끝까지 해내는 유형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채용하고 싶어 하는 신입사원의 유형 조사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가 대기업 및 중소기업 596개사를 대상으로 <채용하고 싶은 인재 유형>에 대해 조사한 결과, 대기업에서는 ‘책임감’을 꼽은 인사담당자가 52.3%로 가장 많았고, 중소기업은 ‘성실성’을 꼽은 인사담당자가 73.3%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 다음으로는 대기업은 성실성(44.2%) 적극성(43.0%) 창의력(31.4%)과 끈기(31.4%)가 있는지 중요하게 살펴보겠다는 답변이 높았고, 중소기업은 이어 책임감‘(63.5%)과 적극성(56.3%)을 높이 평가하겠다는 답변이 높았다. 대기업은 상대적으로 추진력(15.1%)과 도전정신(15.1%) 끈기(31.4%)를 중요하게 살펴보겠다는 답변이 중소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성실성(73.3%)과 책임감(63.5%) 적극성(56.3%)을 중요하게 보겠다는 답변이 대기업에 비해 높았다. 성격유형 검사방식의 한 종류인 MBTI 검사의 결과를 나타내는 16가지 유형을 보기문항으로 <채용하고 싶은 신입사원 유형>에 대해 조사한 결과,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채용하고 싶은 신입사원 유형이 달랐다. 대기업은 ‘성실하고 온화하여 협조를 잘하는 유형’(39.5%)을 중소기업은 ‘한번 시작한 일은 끝까지 해내는 유형’(39.4%)의 직원을 채용하고 싶다는 답변이 가장 높았다. 이 외에 대기업은 친절과 현실감을 바탕으로 타인에게 봉사하는 유형(27.9%) 열정적으로 새로운 관계를 만드는 유형(25.6%) 한번 시작한 일은 끝까지 해내는 유형(25.6%)의 신입사원을 채용하고 싶다는 답변이 높았고, 중소기업은 이 외에 친절과 현실감을 바탕으로 타인에게 봉사하는 유형(31.4%)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우호적인 유형(29.8%)의 직원을 채용하고 싶다는 답변이 높았다. 잡코리아 김은정 차장은 "성격유형 검사도구인 MBTI 유형으로 본 결과도 기업이 선호하는 신입사원은 기존 조사결과와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다만 기업규모에 따라 신입사원에게 요구하는 역할에 있어 상대적인 차이가 순위에서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업무능력과 책임감만큼이나 상사를 보필하고 동료를 지원하는 직원을 선호하고(대기업 선호 1위 '임금 뒤편의 권력형'), 직원이 적은 중소기업은 개개인이 자신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 조직적으로 일을 잘 처리하는 책임감이 강한 직원을 선호한다(중소기업 선호 1위 ‘세상의 소금형’)” 고 설명했다. 또한 "전반적으로 '친선도모형'이나 '사교적인 유형'이 높은 점이 주목할 만 하다."며 "요즘 기업들은 협조적이고 즐거운 분위기를 주도하는 신입사원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맡은 일을 잘 하면서 동료애가 있고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신입사원이 선호되는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신입사원이 되려면 잡코리아 신입사원에서

개인회원 메뉴

개인회원 정보

이력서 사진
이력서 사진 없음
로그인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링크
아직 회원이 아니세요?

개인회원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