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회원 메뉴

개인회원 정보

이력서 사진
이력서 사진 없음
로그인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링크
아직 회원이 아니세요?

개인회원 서비스

JOBKOREA

기업분석

기업심층분석 5. 스튜디오드래곤, TOWS 분석

2023.11.27 조회수 409

TOWS 분석이란 기업 외부 환경의 기회와 위협을 찾아내고 기업 내부 환경의 강점과 약점을 발견해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은 억제시키며, 강점을 활용하고 약점을 보완하는 전략 수립을 말한다. 외부 환경에서 유리하게 작용하는 기회 요인, 외부 환경에서 불리하게 작용하는 위협 요인, 경쟁사 대비 강점, 경쟁사 대비 약점이 각각 무엇인지 알아보자.




 

Threat: 스튜디오드래곤의 위협 요인


Analysis 1. TV 광고 및 OTT 제작비 감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기 침체와 금리 인상 등으로 글로벌 경기가 악화되며 광고 시장도 침체기에 빠졌다. 기업들이 광고 예산을 줄이며 방송사 실적이 악화되고, 방송사는 드라마 투자 규모를 줄이거나 편성 계획 자체를 없애고 있다. 한국방송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0년 9월 107.1이던 광고경기전망지수가 2023년 8월 100.2로 떨어졌다. 스튜디오드래곤이 드라마를 납품하는 케이블TV의 경우 이 지수가 99.8까지 떨어졌다. 해당 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숫자가 적을수록 광고비가 줄어든다는 것을 뜻한다. OTT업계도 다르지 않은 상황이다. 넷플릭스는 향후 4년간 투자 금액을 증액하지 않을 방침이고, 디즈니는 디즈니플러스의 적자에 따라 55억 달러의 비용 감축을 예고했다.


Analysis 2. 드라마 제작비 증가세
제작비가 늘지 않는 상황에서 드라마 기획, 제작에 필요한 비용이 늘고 있다는 점도 위협 요인이다. 특히 제작 현장에 주 52시간 근무제가 도입되고 사전 제작 문화가 늘어나며 제작 기간과 비용이 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2010년대 후반 드라마 1회당 제작비는 10억 원 안팎이었으나 글로벌 OTT가 한국 드라마를 구매하면서부터 매년 제작비가 30% 가까이 늘고 있다. 글로벌 시청자를 만족시킬 만큼 품질이 좋아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 글로벌 OTT에 공급되는 드라마의 경우 1회당 제작비가 20~50억 원으로 알려졌다.



Opportunity: 스튜디오드래곤의 기회 요인


Analysis 1. K-드라마의 글로벌 인기
아시아에 국한되던 한국 드라마의 인기가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OTT 서비스의 성장에 힘입어 전 세계로 확대됐다. 대표적인 작품이 넷플릭스의 ‘오징어게임’이다. 미국 방송계 최고 권위상인 에미상 시상식에서 6관왕을 달성하는 위업을 달성했다. 이후 K-드라마는 전보다 높은 인기를 끌게 됐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미국 OTT 이용자의 43.1%가 1년 내 한국 콘텐츠를 시청한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으며, 영국과 일본 역시 각각 28.7%, 25.3%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2020년대 이후 스튜디오드래곤이 제작해 OTT에 제공하는 드라마도 많아졌다. ‘오징어게임’ 전 가장 인기가 높았던 ‘스위트홈’을 비롯해 ‘좋아하면 울리는2’, ‘킹덤: 아신전’, ‘소년심판’, ‘더 글로리’, ‘셀러브리티’ 등이 넷플릭스에서 오리지널 시리즈로 방영됐다. 디즈니플러스에서는 ‘형사록’, ‘커넥트’ 등의 시리즈가 공개됐고, tvN을 통해 방영된 ‘구미호뎐’, ‘경이로운 소문’, ‘빈센조’, ‘우리들의 블루스’ 등도 높은 인기를 끌었다.



Weakness: 스튜디오드래곤의 약점


Analysis 1. 드라마 제작사의 제한적 수익 구조
드라마 제작 방식은 크게 ‘국내 방송사 외주 제작’과 ‘OTT 오리지널 외주 제작’으로 나뉘는데, 문제는 두 가지 모두 외주 제작이라는 점이다. 제작비를 방송사와 OTT가 내기 때문에 완성품인 드라마의 지식재산권(IP) 역시 해당 기업들이 가져간다. 이에 따라 드라마가 흥행을 하더라도 처음 받았던 제작비 이상의 수익을 거둘 수가 없다. 스튜디오드래곤의 경우 계열사인 tvN에 납품하는 작품이 많지만 드라마 흥행과 2차 저작물에 따른 부가 수익은 모두 방송사인 tvN에 귀속되고 만다. 최근 나타난 IP 보유 제작 드라마의 경우 드라마 흥행에 따른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제작에 필요한 막대한 제작비와 흥행 실패에 따른 위험을 감당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Strength: 스튜디오드래곤의 강점


Analysis 1. 5년 연속 IR 우수 기업 선정
스튜디오드래곤이 2023 한국IR대상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이로써 2019년부터 5년째 매년 우수 기업으로 선정됐다. 한국IR대상은 한국거래서 산하 한국IR협의회가 주관하는 시상식으로, 매해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IR 활동과 주주와 투자자의 공동 이익 실현에 노력한 IR 우수 기업을 선정한다. 스튜디오드래곤은 전략적 IR 활동으로 기업 가치 제고에 힘쓸 뿐 아니라, 분기별 실적 발표와 국내외 기업 설명회 등을 통해 투자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2023년 드라마 제작사로는 최초로 지속가능 보고서를 발간하는 등의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Analysis 2. K-콘텐츠 대표 흥행작 제작 경험
스튜디오드래곤은 2016년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드라마를 기획, 제작하고 이를 글로벌 시장에 유통해 온 국내 대표 제작사로 꼽힌다. 스튜디오드래곤의 대표작으로는 ‘도깨비’, ‘비밀의 숲’, ‘미스터선샤인’, ‘나의 아저씨’, ‘사랑의 불시착’, ‘호델 델루나’, ‘빈센조’ 등이 있으며 이 중 ‘사랑의 불시착’은 21.7%의 시청률을 달성하며 tvN 역대 시청률 1위를 달성했다. 뿐만 아니다. ‘도깨비’는 2017년 케이블TV 방송대상을 수상했고, ‘비밀의 숲’은 2017 뉴욕타임스 ‘국제 TV드라마 TOP 10’에 선정됐으며 ‘빈센조’는 2021 도쿄 국제 드라마 페스티벌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또한 넷플릭스에 공급한 ‘스위트홈’과 ‘더 글로리’가 글로벌 흥행에 성공을 거두는 등 K-콘텐츠를 대표하는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