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회원 메뉴

개인회원 정보

이력서 사진
이력서 사진 없음
로그인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링크
아직 회원이 아니세요?

개인회원 서비스

JOBKOREA

기업분석

기업심층분석 2. LIG넥스원, 최신 트렌드 분석

2023.10.18 조회수 3,634

놓치지 말아야 할 업계와 기업의 최신 이슈와 뉴스를 체크하여 채용 전형 전반에 활용해 보자.


1. 업계 트렌드

* 대한민국 방산 200억 달러 수출 시대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산업연구원에 의뢰한 ‘세계 4대 방산 수출국 도약의 경제적 효과와 과제’에 따르면, 방산 수출의 호조가 지속될 경우 2027년에는 연간 수출 수주가 200억 달러(약 25조 6,000억 원)에 달해 한국이 미국, 러시아, 프랑스에 이어 세계 4위 방산 수출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 방산 내수 매출액과 수출액에 대한 추계 결과를 토대로 총매출액을 추정하면, 2027년 29조 7,000억 원으로 늘고, 같은 기간 방산 수출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0.3%에서 35.3%로 증가할 전망이다.



* 국방비 늘리는 전 세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세계 각국의 국방비가 사상 최고액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2022년 전 세계 주요국 국방비가 실질 기준 전년 대비 3.7% 증가한 2조 2,400억 달러(약 2,989조 원)을 기록했다. 가장 크게 늘린 국가는 핀란드(35.6%)이며 카타르(27.2%), 사우디아라비아(15.6%), 벨기에(12.9%), 네덜란드(12.4%) 등이 뒤를 이었다. 일본 역시 2021년과 비교해 5.9% 늘었고, 중국도 4.2% 늘린 것으로 집계됐다. 인도 역시 세계 최대 무기 수입국 반열에 올랐다. SIPRI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2018~2022) 가장 많은 무기를 수입한 국가는 인도로, 전체 수입량의 11.0%에 달했다. 한편 2023년 7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들이 방위비 지출 가이드라인을 GDP(국내총생산) 대비 최소 2%로 늘리는 데 합의함에 따라, 세계 각국의 국방비 총액 증가세는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2. LIG넥스원, 최신 트렌드

* 수주 실적 12조 상회, 역대 최고 실적 달성
LIG넥스원의 수주 잔액이 12조 2,126억 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LIG넥스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1% 증가한 1조 926억 원으로, 영업이익 역시 2022년 상반기와 비교해 11.0% 증가한 1,084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수출액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는 것이다. 2022년 상반기 LIG넥스원의 수출 매출 비중은 10.1%에 불과했으나, 2023년 상반기 매출에서는 17.7%로 상당 수준 늘어났다. 금액 역시 2022년 대비 1,000억 원 증가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라 세계적으로 정밀유도무기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의 실적도 기대되는 상황이다.



* 방위사업청에 3,500억 원대 함대함/함대지 유도탄 공급
LIG넥스원이 방위사업청과 함대함 유도탄 5차 양산 사업과 관련해 2,205억 원의 해성 유도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해성 유도탄은 해군의 전투함정에 탑재하는 것으로, 공격 목표를 지정해 발사하고 나면 자체 탑재한 초고주파 탐색기를 통해 별도의 원격조종 없이 표적을 타격하는 무기체계다. 아울러 LIG넥스원은 별도 공시를 통해 유도무기 2차 양산 사업과 관련해 1,334억 원의 해룡 유도탄을 공급하기로 했다. 해룡은 적의 지대함 유도탄 및 해안포 사정권 밖에서 지상의 주요 시설과 병력, 장비 등을 정밀타격할 수 있는 미사일이다.



* 김포공항 안티드론 솔루션 계약 체결
LIG넥스원이 한국공항공사와 김포국제공항 불법 드론 탐지장비 구매설치 사업 계약을 2023년 5월 체결했다. 이 사업은 김포국제공항에 공중으로 접근하거나 침입한 드론의 위치(조종자 위치 포함)와 이동 상황을 탐지해 이착륙 항공기, 공항 시설, 공항 이용객 등을 불법 드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방산업계 최초 동반 진출 지원사업 선정
LIG넥스원이 방산업계 최초로 ‘대/중소기업 동반 진출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이 사업은 해외 진출 역량은 있으나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대기업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활용하는 공동 마케팅 사업으로, 사업 금액의 60%를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원한다. LIG넥스원은 ‘서울 ADEX 2023 LIG넥스원 협력업체 연합관’ 과제를 신청했고, 평가위원회와 심의조정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됐다. LIG넥스원은 이번 연합관에 참여하는 중소기업들을 위해 전시장 내 부스 위치 확보, 부스 디자인 및 공사 등 전시 참가 업무 관련 사항을 전액 무료로 지원한다. 이러한 활동은 LIG넥스원의 ESG 경영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