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회원 메뉴

개인회원 정보

이력서 사진
이력서 사진 없음
로그인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링크
아직 회원이 아니세요?

개인회원 서비스

JOBKOREA

기업분석

기업심층분석 3. LIG넥스원, 재무제표 및 사업보고서

2023.10.18 조회수 4,260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지표를 가장 쉽게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회계 보고서다. 해당 기업의 경영진이 회사를 잘 경영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경영실적보고서의 의미를 갖는다. 지원자는 기업의 실적과 재무 건전성을 토대로 현재 기업의 경영 상황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지원 기업에 대해 재무 안전성과 경영 상태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LIG넥스원, 재무제표 분석

Analysis 1. 매출 현황

LIG넥스원은 2022년 연 매출 2조 2,162억 원을 기록하고, 영업이익 1,788억 원을 달성했다. 2021년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 8,200억 원과 972억 원이었으며, 2020년에는 1조 5,994억 원과 641억 원을 나타냈다.


Analysis 2. 사업 성과

우리나라 국방비와 방위력개선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LIG넥스원의 매출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국방부가 발표한 ‘2023~2027 국방중기계획’에 따르면 2022년 국방비는 54조 6,000억 원이며, 방위력개선비는 16조 6,000억 원에 달했다. 2018년의 국방비와 방위력개선비와 비교할 때 각각 연평균 성장률 7.0%, 9.5%가 증가한 수치다. 이러한 추세와 함께 LIG넥스원의 매출 역시 매년 2,000억 원 이상의 폭으로 증가했다. 특히 두각을 나타낸 사업은 주력 사업인 정밀유도무기다. 2022년 LIG넥스원이 판매한 정밀유도무기 매출은 총 1조 2,416억 원으로 전체 매출의 55.9%에 달하는 비중이다. 감시 및 정찰 임무를 위한 무기체계인 감시정찰 사업 역시 2022년 한 해 동안 3,155억 원을 판매하며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한편 2022년 2월 시작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전 세계 국방력 강화 수요가 증가하고 불법 드론 및 소형 무인기의 침범, 중동 지역의 갈등이 지속되는 등 국제 사회에 만연한 여러 안보 위기로 한국산 무기의 수출이 증가했다. 2021년 LIG넥스원의 수출액 비중은 전체 매출의 4.5%였지만 2022년 18.3%로 13.8% 증가한 4,060억 원을 기록했다.


Analysis 3. 향후 성장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폴란드를 중심으로 유럽의 방위비가 상당액 늘어날 전망이다. 2023년 7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들이 방위비 지출 가이드라인의 하한선을 GDP 대비 2.0%로 정함에 따라, 이에 미치지 못하던 회원국들이 방위비를 늘릴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중동, 동남아시아와 중국 등 지역 간 갈등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어 한동안 방위산업은 호황을 이어갈 것으로 예견된다.

우리나라 정부도 국방력 강화를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2023~2027 국방중기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2023년부터 매년 국방비 6.8%와 방위력개선비 10.5%를 늘려 2027년 총국방비를 76조 원으로 확대하고 방위력개선비 역시 27조 5,000억 원으로 증액할 방침이다. 한편 방위산업을 국가첨단전략산업으로 지정해 방산 수출 지원체계를 강화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유도무기, 감시정찰, 지휘통제통신, 항공전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첨단 기술을 활용한 제품을 개발/생산하고 있는 LIG넥스원의 성장세도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