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회원 메뉴

개인회원 정보

이력서 사진
이력서 사진 없음
로그인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링크
아직 회원이 아니세요?

개인회원 서비스

JOBKOREA

기업분석

기업심층분석 4. 아마존웹서비시즈코리아, 고객 / 자사 / 경쟁사 분석

2023.08.07 조회수 648

 

고객, 자사, 경쟁사 분석을 통해 기업이 현재 처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기업이 현재 어떤 곳에 있고, 고객은 어떤 집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경쟁사에 비해 어떤 비교 우위 전략을 가졌는지 살펴보자.


고객 분석(Customer)

Analysis 1
AWS는 2016년 1월 한국에 12번째 리전(Region, AWS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점)를 연 이래, 160여 개 서비스를 지원하며 수만 곳의 국내 기업을 고객으로 확보했다. 삼성전자, 대한항공, KB금융그룹 등이 대표적이다. 파트너사는 1,000여 곳에 달한다. AWS의 고객은 개인부터 스타트업은 물론 금융, 제조, 통신, 유통 등 엔터프라이즈의 각종 산업군을 아우른다.


Analysis 2
그간 AWS와 같은 외국계 기업의 클라우드 이용의 가장 큰 단점은 언어/시차 등으로 인한 즉각적 기술 지원이 불가능하다는 점이었다. 이에 AWS코리아는 한국의 많은 고객이 언어의 장벽 없이 AWS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더 쉽고 편리하게 운영하고 혁신할 수 있도록 한국어 지원을 대폭 강화했다. 이제 AWS 고객은 운영 상의 문제나 기술적 문제가 있을 경우 한국인 엔지니어로 구성된 기술지원팀을 통해 별도의 추가 비용 없이 상시 문의하고 빠르게 필요한 부분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실시간 한국어 고객 지원 서비스로 국내 사용자 록인(잠금)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자사 분석(Company)

아마존웹서비시즈는 미국의 IT기업 아마존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부로 시작해 현재 클라우드 분야에서 압도적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이다. 전 세계 190개국에 있는 수백만의 고객을 지원하는 클라우드에서 안전성과 확장성을 갖춘 저비용 인프라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서비스의 종류만 컴퓨터,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애널리틱스, 머신러닝, 인공지능 등 125여 종에 달한다.

많은 기업이 AWS의 클라우드를 선택하는 것은 다양한 이점 때문이다. 급변하는 경쟁 환경에서 빠른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민첩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업은 클라우드를 통해 수분 만에 필요한 IT 자원을 배포해 혁신의 속도를 높이고 그만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물리적 인프라에 대한 선투자 없이 컴퓨팅 자원을 빌려 쓰고, 쓴 만큼만 지불하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기본 인프라 관리에 투입한 자원을 다른 핵심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경쟁사 분석(Competitor)
Analysis 1. 경쟁 사업자

한국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Google)코리아 등이 있다.



Analysis 2. 경쟁 상황
#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MS)는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제작업체 중 한 곳으로, 빌 게이츠(Bill Gates)와 폴 앨런(Paul Allen)이 1975년 공동 창업했다. MS는 클라우딩 컴퓨터 사업을 중심으로, 기업들의 사업을 디지털 전환과 함께 지원하는 다이내믹365(Dynamic365)와 파워포인트, 워드와 엑셀, 원노트, 아웃룩, 팀즈 등으로 구성된 ‘오피스365(Office365)’, 세계 최대의 전문 네트워킹 플랫폼 ‘링크드인(Linkedin)’, 컴퓨터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윈도우(Windows)’, 그 밖에 ‘엑스박스(Xbox)’ 게임과 검색, 뉴스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MS는 AWS, 구글 클라우드와 함께 세계 3대 클라우드 기업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배경에는 MS의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부인 애저(Azure)의 활약이 있었다. ‘애저’는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 및 배포, 가상머신 실행, 데이터 저장 및 분석, 웹 사이트 및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호스팅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MS는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및 혼합 현실과 같은 새로운 기술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그 결과 AI 기술이 더해진 새로운 서비스를 꾸준히 내놓고 있다. ▲오픈AI가 공개한 챗GPT 플러그인 표준을 빙에 적용 ▲플러그인을 통한 마이크로소프트365 코파일럿 확장 ▲윈도11 운영체제에 코파일럿 탑재 등이 그것이다. MS의 이러한 서비스를 한국에 제공하고 있는 한국마이크로소프트는 마이크로소프트 코퍼레이션의 100% 출자법인으로, MS의 글로벌 서비스 외에도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제품의 개발, 한글화 작업, 제조, 복제, 마케팅 및 기술적 지원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구글코리아

구글은 1998년 래리 페이지(Larry Page)와 세르게이 브린(Sergey Brin)이 공동 창업한 미국의 인터넷 회사다. 2015년 구글의 지주회사로 알파벳(Alphabet)을 설립하고, 구글이 알파벳의 자회사로 편입됐다. 세계 최대의 검색 포털 사이트인 구글닷컴(google.com)을 운영하고 있는 세계적 IT기업으로, 2004년 지메일(Gmail)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5년에는 안드로이드(Android)사, 2006년에는 동영상 공유 사이트 유튜브(YouTube)를 인수하며 규모를 키워 나갔다. 2008년에는 구글 크롬(Chrome) 웹브라우저를 개발해 현재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구글은 앞서 나가는 IT기업으로 잘 알려져 있다.

2009년에 이미 인공지능을 탑재한 무인 자율주행 자동차 시스템인 구글카(Google Car)를 개발했고, 2012년에는 지능형 개인 비서 서비스인 구글 나우(Google Now)를 개발했다. 또 스마트 안경인 구글 글래스(Google Glass), 가상현실(VR) 체험용 기기인 구글 카드보드(Cardboard)도 이미 개발을 마쳤다.

최근 구글이 가장 열심인 사업은 클라우드 사업이다. 구글 클라우드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으로,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킹, 빅 데이터, 머신러닝, 보안 등을 포함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품군을 제공한다. 이 플랫폼은 확장 가능하고 유연하게 설계됐는데, 퍼블릭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 옵션은 물론 조직이 기존 IT 인프라를 클라우드와 연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솔루션을 제공한다. 구글 클라우드의 주요 강점 중 하나는 인공지능과 기계 학습에 중점을 둔 것. 이 플랫폼은 기업이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도록 다양한 기계 학습 도구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 합니다.

이전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