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회원 메뉴

개인회원 정보

이력서 사진
이력서 사진 없음
로그인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링크
아직 회원이 아니세요?

개인회원 서비스

JOBKOREA

기업분석

기업심층분석 2. 한국암웨이, 최신 트렌드 분석

2023.09.26 조회수 746

놓치지 말아야 할 업계와 기업의 최신 이슈와 뉴스를 체크하여 채용 전형 전반에 활용해 보자.


1. 업계 트렌드

* 전 세계 직접판매 2032년 4,800억 달러 성장 전망
시장조사기관 스페리컬 인사이트 & 컨설팅(Spherical Insights & Consulting)이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직접판매의 연평균 성장률(CAGR)은 7.2%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직접판매 시장 규모는 2022년 2,385억 6,000만 달러이며, 10년 뒤인 2032년에는 4,791억 5,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직접판매 시장 중 다단계마케팅 부문은 이 기간 동안 수익 점유율 58.6%로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다단계마케팅 사업을 시작하는 데 드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직접판매 산업의 주요 동기가 된다는 분석이다.



* 대한민국 직접판매 시장, 세계 2위 규모 자리매김
직접판매세계연맹(WFD­SA)이 2022년 발표한 전 세계 직접판매 시장 규모 및 국가별 규모에 따르면, 1위는 미국으로 시장 규모 426억 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의 뒤를 이은 나라는 한국이다. 전년 대비 6.1% 성장한 194억 2,100만 달러를 기록하며 당당히 2위에 이름을 올렸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코로나19 방역 등으로 인한 비대면 상황에서 이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아시아 시장의 성장세가 눈에 띈다. 대륙별 시장 규모를 살펴보면 아시아 시장은 전 세계 시장 규모의 약 4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자 수 역시 약 7,452만 명으로 가장 많았다. 국가별 사업자 수를 살펴봐도 아시아 지역이 직접판매 시장의 성장세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웰니스 및 화장품 제품군, 전 세계 직접판매 시장 주도
직접판매세계연맹의 발표에 따르면 웰니스와 화장품 제품군이 전 세계의 직접판매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웰니스(건강식품, 다이어트) 제품군이 34.8%로 가장 높았고, 화장품 및 퍼스널케어는 24.5%로 뒤를 이어 웰니스 제품군과 화장품 및 퍼스널케어 제품군이 전체의 62.4%를 차지했다. 이어 3위 생활용품 제품이 14.4%, 4위 의류&액세사리 4.7%, 5위 금융 서비스 3.8%의 순이었다.



2. 한국암웨이, 최신 트렌드

* 원포원 프로젝트로 ESG 강화
업계에서는 한국암웨이의 대표적인 상생 협력 프로그램으로 ‘원포원 프로젝트’를 꼽는다. 암웨이의 글로벌 제품 하나를 한국에 출시할 때마다 국내 중소기업의 우수한 제품 하나를 함께 론칭한다는 개념이다. 이 프로젝트가 주목받는 건 단순히 특정 중소기업의 매출을 올려주는 선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를 통해 자력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기 때문이다. 글로벌 모기업의 제품을 출시할 때마다 그와 연동해 국내 기업의 ‘똘똘한 제품’을 하나씩 함께 출시해 자생력을 길러주고 있다.

한국암웨이의 원포원은 최근 산업계에서 강화되고 있는 ESG경영 추세에 발맞추고 있다. 포장 부피를 줄이기 위해 부직포 가방이나 손잡이를 제거하고, 플라스틱 포장재 대신 생분해성 포장재나 친환경 잉크를 적극 사용하는 식이다. 2022년부터는 신제품을 출시할 때 ESG 요소를 반드시 한 가지 이상 적용하고 있다.



*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글로벌 이노베이션도 한국암웨이의 대표적인 상생경영 프로그램이다. 전 세계 100여 개국에 진출한 암웨이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글로벌 시장 출시 제품에 국내 기업을 참여시키는 방식이다. 뛰어난 기술력과 상품성을 갖췄지만 아직 판로를 개척하지 못한 중소기업들에 수출 기회를 열어주고 있다. 2013년 암웨이 ‘아시아 이노베이션 센터’를 한국에 유치하면서 이런 흐름이 더욱 본격화됐다. 센터를 통해 개발된 ‘더마소닉’ 등의 제품이 글로벌 시장에서 흥행하면서 프로젝트의 지속가능성을 검증받았다. 지난 10여 년간 21개 국내 중소기업이 한국암웨이와 함께 16개국에 진출했으며, 누적 수출액은 7,800억 원을 웃도는 것으로 알려졌다.



* 플랫폼의 디지털 혁신과 제품 혁신
한국암웨이가 2022년 사상 최대의 매출을 기록한 데에는 지속가능 성장 전략인 ‘암웨이 플라이휠(Amway Flywheel)’ 도입과 혁신 제품 출시가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국암웨이는 2019년 처음 암웨이 플라이휠을 선보이며 사업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성공적으로 안착시켰다. ‘암웨이 플라이휠’은 헬스&웰니스 분야 제품력을 기반으로, 초기 사업자들이 보다 쉽게 암웨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디지털 혁신을 가미한 것이다. 메타버스 기반 스마트 바이크 플랫폼 ‘25센트 라이드’가 대표적인 사례다. 제품 혁신 부문에서는 2022년 개인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마이랩 바이 뉴트리라이트’ 6종을 출시한 것이 눈에 띈다. 또 두피 케어 시장 확대와 함께 출시한 ‘스캘프&헤어 뉴트리션’ 등 시장의 변화에 발맞춘 제품 라인업의 전략적 브랜딩도 매출 향상에 기여했다.



* 리더십 세미나 재개
한국암웨이가 본격적인 코로나19 엔데믹 시대를 맞아 오프라인 접점을 넓히고 있다. 특히 암웨이의 ‘리더십 세미나’는 직접판매 업계의 오랜 관행인 보상(인센티브) 여행 성격으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전면 중단됐다가 2023년 1월 부활했다. 태국 치앙마이에서 개최한 3년만의 행사에는 약 4,000여 명의 암웨이 사업자(ABO, Amway Business Owner)와 그 가족들이 참석했다. 전 세계 암웨이 지사 중 보상 여행에 가족을 초청하는 곳은 한국이 유일하다.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 합니다.

이전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