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뉴스

[사설] 해도 너무한 과잉보호가 노조 '취업장사 적폐' 불렀다

한국경제신문 | 2017.05.18

노조 간부들의 ‘취업장사’ 비리가 또 불거졌다. 엊그제 부산경찰청 이 발표한 시내버스 기사 부정취업 사건 입건자는 청탁자까지 총 110명에 달한 다. 특히 놀라운 것은 수사대상 12개 부산 버스회사의 노조간부가 14명이나 포 함된 점이다. 대형 운전경력이 없는 미자격자가 이삿짐센터에서 일한 것으로 경 력을 위조했고, 브로커 숫자에 따라 800만~1600만원으로 ‘알선 가격&rsq uo;이 정해질 정도로 구조적인 비리였다. 입사자 추천권, 배차 관리권 같은 노 조의 막강한 권한 때문에 회사 측도 ‘검은 요구’를 들어줄 수밖에 없다는 게 경찰의 분석이다.

노조가 직접 관여한 취업장사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전·현직 노조간 부 17명이 기소된 한국GM 노사의 채용비리가 검찰에 적발된 게 불과 석 달 전이 다. 전 노조지부장 집 화장실 천장에서 4억원의 현금뭉치가 나와 세상을 놀라게 했던 그 사건이다. 거슬러 올라가면 2004년 기아자동차 노조, 항운노조 등 비 슷한 사례가 널렸다.

경찰의 지적이 아니더라도 노조를 과잉보호하는 노동관련법들이 문제다. 64년 전에 제정돼 변한 사회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근로기준법부터가 그렇다. 강력한 파업권에 맞서려면 대체근로와 파견근로제가 필요하지만 노조 반대로 번번이 무산됐다. 사측이 직장폐쇄 조치로 대응할 수 있다지만, 노조의 불법 점 거농성에 속수무책이 된 지 오?〈? 법원도 노조 편을 들기 일쑤다. ‘노 조=사회적 약자’라는 인식 탓이다. 하지만 대기업 정규직 노조는 &lsquo ;특갑’이 된 지 오래됐다. 표를 내세워 국회의원과 단체장까지 좌우할 정 도다.

채용비리만이 아니다. 고용세습도 문제다. 정부의 시정명령에도 단체협약상 &l squo;노조추천 우선·특별채용’으로 고용승계가 계속되는 기업이 300곳이 넘는다. 오죽하면 친(親)노동자 정당을 자임하는 정의당의 심상정 대표 까지 지난 대통령 선거 때 취업장사와 고용승계를 질타하면서 “대기업 노 조는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쓴소리를 했겠나. 사태가 이 지경까지 이른 데는 자칭 진보정치 세력의 책임이 크다. 강력한 노조권력을 바로잡아 노 사 관계에 균형을 맞추는 것도 새 정부의 책무다. 고용승계에 취업장사까지 하 면 취업준비생들은 어떻게 하나.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맨 위로

대표: 윤현준

사업자 등록번호: 110-81-34859사업자정보 확인 >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301 동익성봉빌딩 16~18층 잡코리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16-서울서초-0287호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청 제2016-11호

유료직업소개업 등록번호 : 제2022-3210195-14-5-00035호

개인회원 메뉴

개인회원 정보

이력서 사진
이력서 사진 없음
로그인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링크
아직 회원이 아니세요?

개인회원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