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정보

뒤로

기업심층분석 5. 엔젯, TOWS 분석

2023.10.17. 조회수 275

TOWS 분석이란 기업 외부 환경의 기회와 위협을 찾아내고 기업 내부 환경의 강점과 약점을 발견해 기회를 활용하고 위협은 억제시키며, 강점을 활용하고 약점을 보완하는 전략 수립을 말한다. 외부 환경에서 유리하게 작용하는 기회 요인, 외부 환경에서 불리하게 작용하는 위협 요인, 경쟁사 대비 강점, 경쟁사 대비 약점이 각각 무엇인지 알아보자.




 

Threat: 엔젯의 위협 요인


Analysis 1. 특허분쟁
2023년 6월 대법원이 엔젯이 참엔지니어링을 상대로 진행한 특허분쟁의 상고 신청사건 2건을 모두 기각했다. 엔젯은 자신의 특허가 무효라고 결론 내린 특허법원 판결 1건 그리고 해당 특허의 권리범위 정정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은 특허법원 판결 1건 등에 대해 불복하고 대법원에 상고를 신청했지만 결과에 변함은 없었다.

쟁점 특허는 ‘정전기력을 이용하는 3차원 형상 표면 인쇄장치’(10-2012-0053734)로, 잉크젯 시스템을 사용해 불량 패턴을 수리하는 데 필요한 기술이다. 엔젯은 참엔지니어링의 소송 제기로 특허심판원에서 특허 일부가 무효가 되자, 특허권 범위를 좁히기 위해 권리범위 정정을 신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특허는 등록되더라도 권리범위가 지나치게 넓으면 이후 무효심판 등에서 무효가 될 수 있다.



Opportunity: 엔젯의 기회 요인


Analysis 1. 마이크로 LED 리페어 복합기 시장 본격 진출
엔젯이 글로벌 대형 TV 제조사로부터 수주를 받아 디스플레이 필수 공정인 리페어 공정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엔젯의 리페어 복합기는 초미세 패터닝 기술로 50마이크로미터 크기 이내의 LED칩을 옮겨 넣는 마이크로LED 칩픽셀 실장기술을 개발해 오랜 기간 시장을 겨냥해 왔다. 엔젯의 장비는 디스플레이 기판에 마이크로 LED칩 대량 전사 후 불량 칩 발생 시 이를 교체해 불량률을 낮추고 생산효율을 증대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글로벌 휴대폰 제조사, 대형 TV 제조사,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마이크로 LED를 이용해 TV, 휴대폰, 자동차 디스플레이 패널, AR, VR, 워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DSCC는 이 시장이 2027년까지 13억 9,500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Analysis 2. 반도체 패키징 기술 중요성 부각
최근 첨단 반도체 수요와 고객사 확대를 위해 첨단 후공정(패키징)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엔젯은 차세대 시장으로 반도체 패키징 분야를 노리고 있다. 과거에는 메모리반도체 패키징이 후공정이라 중요도가 떨어졌는데, 비메모리가 부각되면서 패키징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 디스펜서로 소화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엔젯은 EHD 잉크젯 프린팅 수요가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Weakness: 엔젯의의 약점


Analysis 1. 전방산업 경기 따라 실적 변동
인쇄전자 산업은 전방산업인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등의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는다. 엔젯은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업체의 투자 계획에 따라 영업 실적이 변동될 수밖에 없어 이들 업종의 경기 변동적 특성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산업은 패널의 최종 수요처인 TV,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의 실적에 영향을 받는데, 이러한 소비재는 경기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반도체 산업은 미국의 경제 순환 사이클에 따라 호황과 불황을 반복했으나, 최근 중국 및 인도 등 신흥 시장의 비중이 확대되며 경기 변동 폭이 줄어드는 추세다.



Strength: 엔젯의 강점


Analysis 1. 독보적 기술력
얇은 전자회로를 만들기 위해서는 잉크가 나오는 노즐이 그만큼 좁아야 한다. 기존 잉크젯 기술은 50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잉크를 내뿜지만, 엔젯은 EHD 잉크젯 기술로 1마이크로미터까지 토출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하게 회로를 그리거나 기능성 코팅이 가능하다. EHD 기술의 경우 잉크젯 프린팅 기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응용 기술을 연구개발하는 데 높은 비용과 장기간의 시간 투입이 필요해 경쟁 업체의 진입이 쉽지 않다. 시장조사업체 Yole Developpement가 2019년 발표한 새로운 인쇄 기술 리포트에 따르면, EHD 기술을 연구개발하는 주요 업체는 엔젯이 독보적이다. 또한 엔젯은 아이폰의 빛샘 현상을 제어하는 기술을 세계에서 유일하게 확보한 업체다. 아이폰 특유의 ‘다이내믹 아일랜드’를 화면에서 구현하기 위해서는 HIAA(Hole In Active Area)를 통해 홀을 뚫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빛샘 방지 기술이다. 해당 부품 공급이 본격화될수록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Analysis 2. 기능성 잉크 자체 개발
엔젯은 인쇄전자 분야가 미래 첨단 제조 시장에 적용될 것을 확신하고, EHD 잉크젯 제조 공정에 최적화된 기능성 잉크를 독자적으로 개발해 왔다. 세계 최초로 EHD 인쇄 기술을 기반으로 재료 및 공정 개발을 위한 전담 부서인 기술혁신팀을 신설하고 개발, 제조 및 신뢰성 검증 시스템을 구축했다. 그 결과 2019년 EHD용 재료의 합성 및 Formulation 기술을 바탕으로 삼성전자 제품을 양산 승인(전도성잉크 RS Ink, 절연잉크 EP Ink)받아 현재 EHD 프린팅 시스템과 잉크를 토털 솔루션 형태로 공급하고 있다. 삼성전자와의 공동 개발로 마이크로 LED와 OLED 리페어 공정 등의 기능성 잉크 기술 개발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으며, 잉크 제조기술에 있어 독자적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 합니다.